'지역 한정 채용' 왜 외면하나
'지역 한정 채용' 왜 외면하나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지방대 졸업자의 취업난이 말이 아니다. 대기업 취업난은 물론 지역에 지사(支社) 형태로 운영되는 공기업에의 지방대 출신 취업난도 극심하다.

지방자치가 정착 단계에 들어서고 있는 것과 달리 공기업 등 고용시장의 전국화로 그나마 지방대 출신의 희망이었던 이들 직장에의 취업마저 ‘바늘구멍’이 돼 버렸다. 바로 ‘지역 인력 한정 채용’제도가 실종돼 버렸기 때문이다.

먼저, 정부의 지방대 출신 고용대책 소홀에 그 원인을 찾을 수밖에 없다. 이를테면 한전과 KT(한국통신)는 도내에 필요한 대부분 신규 인력을 도내에서 채용해 왔다. 지역인력을 양성하고 특히 지방대 졸업자들에게 취업의 기회를 확대하기 위한 조치였다.

그러나 올해는 전국단위 공채로 지역 한정 채용을 기대할 수 없게 됐다는 보도다. 그야말로 거꾸로 가는 지방화시대가 아닐 수 없다.

지방화시대는 행정의 지방화만으로 이뤄지는 게 아니다. 국가기관과 공기업 등 도내 상주 기관 및 지사의 대부분 인력이 도내에서 충당될 때 진짜 지방화가 될 수 있다.

심지어 도 등 지역 단위로 선발하던 농협중앙회 신규 직원 채용도 전국 단위로 바뀌었다. 어느 부서보다도 지역 주민들과 호흡을 같이해야 할 부서들이 좋은 제도를 발전시키지는 못할망정 외면해 버리다니 기가 막힐 노릇이다.

그러잖아도 대기업 취업이 힘든 지방대 출신들로선 청천벽력이 아닐 수 없다. 일일이 언급할 수는 없지만 도내 현지 신규 채용을 전국단위 공채로 바꿔버린 직장은 더 있다.

지방대 출신의 지역 우선 취업 혜택은 취업난 해소 뿐 아니라 자칫 위기에 빠질지 모를 지방대학의 생존 차원에서도 절대 바람직하다. 요즘 지방대학들은 신입생 자원 부족과 취업난으로 인한 휴학 및 편입 등을 통해 수도권 대학으로 빠져나가는 학생들 때문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지방대 출신 취업난 악화를 야기한 일차적 책임은 교육인적자원부에 있다. 대기업 취업 확대는커녕 지역 한정 채용마저 실종돼 버렸으니 응분의 책임을 져야 마땅하다.

만약 지방대 육성 특별법만 제정됐더라도 지방대 졸업자들의 최악의 취업난과 지방대의 어려움은 그리 크지 않았을지 모른다. 정부 역시 지방대 출신 취업난 해소 특별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그러잖으면 지방대 출신 취업대책에 가장 소홀한 정부로 기록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