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성 없는 축제' 발상 전환 필요
'생산성 없는 축제' 발상 전환 필요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민선 자치시대 이후 지방자치단체마다 경쟁적으로 펼치고 있는 각종 축제가 생산성없이 소모적으로 치러지고 있어 발상의 전환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문화관광부가 최근 내년부터 문화관광축제의 내실을 가리는 ‘예비축제 시스템’을 도입키로 해 축제의 특화와 결집에 대한 논의가 다시 불거지고 있다.
▲‘예비축제 시스템’ 도입=14일 문화부에 따르면 국내에서 열리는 축제는 대략 800여 건.
대부분 향토색이 없을 뿐 아니라 축제기획의 전문성 부족과 차별화 미흡, 관 주도 운영, 선거용 양산 등 문제로 인해 예산과 인력 낭비가 크다는 게 문화부의 분석이다.
이에 문화부는 내년부터 양산일로에 있는 문화관광축제의 ‘옥석’을 가리는 ‘예비축제 시스템’을 도입키로 했다.
‘예비축제 시스템’이란 문화관광축제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는 축제를 예비축제로 선정, 1년간의 운영성과에 따라 본축제 편입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다.
도내에서 유일하게 정부 예산을 지원받던 ‘정월대보름 들불축제’가 내년도 정부 지원 축제 목록에서 탈락한 것도 이에 따른 것이다.
이로써 도내에서 열리는 25건의 문화관광축제 가운데 정부의 공인과 지원을 받는 축제는 단 한 건도 없게 됐다.
이와 별개로, ‘탐라(한라)문화제’와 ‘탐라국 입춘굿놀이’는 지난해 마련된 광역시를 제외한 9개 시.도의 지역민속축제 육성책에 따라 올해 2000만원이 지원되고 있다.
▲특성없는 축제, 예산만 흥청=문화관광축제로 선정되면 ‘문화관광부 지정 축제’라는 공식 명칭 사용과 각종 해외 홍보는 물론 최고 1억원에서 최저 3000만원의 행사비를 지원받는다.
그만큼 정부 지정 축제는 국제축제로 발돋움할 수 있는 메리트가 상당하다.
한 원로 문화예술인은 “자치단체마다 장기적인 상품전략도 없이 경쟁적으로 신규 축제를 잇달아 만들면서 소위 ‘안방 잔치’에 머무르고 있다”며 “반짝 이벤트에 그치는 축제도 상당수”라고 말했다.
따라서 제주 고유의 특성이나 향토성과 동떨어진 축제를 과감히 정리하고 축제를 집중적으로 특화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축제와 관광 연계 절실=나아가 문화와 예술, 역사, 민속을 주제로 한 축제를 집중 발굴해 관광상품으로 꿰는 노력이 절실한 시점이다.
문화예술 관계자는 “지역민의 결집과 문화 향유의 의미가 담긴 일부 축제를 별개로 하더라도 관광과 연계한 축제 재구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 관광사업자는 “현재 제주의 축제는 축제 따로, 관광 따로 하는 형국”이라며 “이 같은 구조로는 소모적인 축제에 판에 박힌 관광이 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