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제주경제의 희망찾기
새해 제주경제의 희망찾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다시 새해다. 늘 그렇듯이 첫 출발은 희망을 노래하게 하고 부푼 기대감을 품게 한다. 올해는 60년 만에 찾아온 '흑룡의 해'라는 점에서 더욱 그렇다.

희망찬 새해가 시작됐지만 지역경제 여건은 예년만 못해 연초부터 경고등이 잇따라 켜지고 있다.

서민가계는 여전히 고(高)물가 고통에 시달리고 있으며 중소기업은 내수 부진 등에 따른 자금난에 허덕이고 있다. 청년 실업난도 좀처럼 돌파구를 찾지 못하는가 하면 지역경제 성장세는 둔화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올해부터 발효되는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을 시작으로 가속화되는 개방화 시대는 감귤류를 비롯해 축산업과 밭작물에 이르기까지 도내 1차산업을 직접적으로 위협하고 있다.

그나마 관광객 1000만명 시대를 열겠다는 야심찬 목표를 내건 관광산업을 제외하고는 올해 경제 분야에서 희망찬 새해 메시지를 찾기는 쉽지 않다.

이 같은 경제 분야별 새해 전망을 종합해 볼 때 올해는 정부와 지자체의 경제 정책이 어느 때보다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사실 지역경제 활성화는 언제나 되풀이되는 정책 화두다. 제주의 비전인 국제자유도시와 특별자치도의 지향점도 1인당 소득 3만달러 달성이라는 도민의 경제적 삶의 질 향상에 맞춰져 있다.

이를 위해 올해부터 오는 2021년까지 10년간 33조8000억원 규모의 투자 계획을 담은 '제2차 제주국제자유도시 종합계획'이 본격 추진된다.

우근민 도지사도 새해 도정 방향에 대해 "'제주 대도약의 해'로 만들기 위해 변화와 도전을 멈추지 않겠다"며 수출과 관광, 1차산업, 풍력, 스마트그리드 등의 역점 추진 계획을 밝혔다.

중.장기적으로 주력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녹색성장산업 육성에 중점을 두고 이른바 '성장경제'를 이끌어 나가겠다는 의지가 엿보인다.

하지만 현재 시점에서 문제는 제주도의 주요 경제 정책에 대한 지역경제 주체들의 체감도가 떨어진다는 데 있다. 이른바 지표와 현실이 따로 노는 괴리감이 커지고 있는 셈이다.

수출만 해도 지난해 4억달러 목표를 달성했지만 감귤인 경우 1만t 수출 계획이 무색할 정도로 저조한 실적에 그쳤으며 주력 수출 어종인 활넙치도 일본 대지진 여파로 고전을 면치 못했다. 또 양배추와 월동무 등 밭작물은 과잉 생산에 따른 '밀어내기 수출'에 그치면서 관련 업계에서는 수출 1조원 시대의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관광도 지난해 외국인 관광객 100만명 시대를 열고 전체 관광객 870만명 돌파라는 호황세를 누렸지만 양적 팽창에 걸맞는 실질적인 지역경제 파급효과는 미흡한 것 아니냐는 평가를 받았다.

일자리 창출 역시 지난해 3000개 이상을 새로 만들어내면서 고용지표 개선 효과로 이어졌지만 청년층 실업난은 여전히 풀어야 할 정책 과제로 남겨져 있다.

지역경제학적 측면에서 이에 대한 근본적인 해답은 산업 부문간 연계효과를 극대화하면서 지속성을 갖는 선순환 시스템에서 찾을 수 있다. 무엇보다 나홀로 성장이나 고용 없는 성장은 무의미하고, 동반 상생 성장이 결과적으로 튼튼하고 건강한 지역경제 토대를 만들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는 지금부터라도 지역경제의 상생모델을 만들어내고 확산시켜 나가는 노력이 시작돼야 한다. 로컬푸드 운동과 사회적기업을 연계한 방안도 좋고, 향토기업과 관광산업간 협력 방안도 좋다. 내실 있는 지역자본 주체 사업 및 마을 공동체 사업도 바람직하다.

이 같은 노력들은 분명 제주경제의 새로운 희망찾기와 지역사회 공동체 복원을 위한 밑거름이 될 것으로 기대해 마지 않는다. <경제부장>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