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교육원에 의병정신을 담자
학생교육원에 의병정신을 담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정옥자.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1959년 고등학교 2학년 여름방학은 내 평생 잊지 못할 추억을 안겨주었다. 당시 나는 서울의 동덕여고에 다니고 있었는데 학생회장 후보로 대대장 후보와 함께 왕십리에 있던 무학여고에서 간부 학도훈련을 받았다. 서울시교육청이 서울에 있는 모든 여고에서 학생 두 명씩을 선발하여 장미반과 백합반으로 분반, 숙식시키며 집중교육을 시켰던 것이다.

간부로서의 자질함양이 목표라고 했는데 교과과정은 다양하였다. 당대의 저명인사들이 들려주는 인생 이야기, 리더십에 대한 정의, 투철한 국가관과 애국심에 대한 담론 등은 물론이고 자유 시간엔 리크레이션 시간도 있었고 뚝섬에 수영하러 가기도 하였다. 간부학생으로서의 자부심이 있어서인지 교육은 사고하나 없이 일사분란하게 이루어졌고 훈련하는 선생님이나 훈련 받는 학생이나 진지하기 짝이 없었다. 벌써 50년이 훌쩍 넘었건만 어제 일같이 생생하다.

뒤에 회고해보니 이 경험은 내 인생의 중요한 변곡점이었다. 그전까지는 사회나 국가에 대하여 생각해 볼 겨를도 없이 오직 나 하나에만 관심을 갖고 살았는데 나를 넘어선 세계에 눈뜨게 되었던 것이다. 다음해 학생회장이 되어 4.19혁명에 와중에서도, 그 후의 내 삶에도 많은 영향을 끼쳤던 것으로 생각된다. 감수성이 예민한 청소년시절의 경험은 누구에게나 적지 않은 영향을 끼칠 것이라 생각한다.

'강원학생교육원'은 강원도 내 청소년들에게 의병정신을 고취하는 곳으로 알고 있다. 그 학교가 위치한 가정리가 바로 조선 망국의 시기에 나라를 위하여 목숨을 내놓은 의암 유인석 장군의 사적지이므로 그곳의 시설물이 의병운동이나 의병정신과 관련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의암선생이 어떤 인물인가는 재론할 필요조차 없겠지만 독립운동의 상징적 인물인 김구선생이 노구를 이끌고 춘천시 남면 가정리까지 거동하여 의암선생 묘소에 제의를 행하며 바친 고유문을 보면 더 분명해진다.

스스로 백수잔년(白首殘年)이라 자처한 김구선생은 의암선생의 절의를 높이 평가하고 지난 세월 자신의 정신적 지주였음을 천명하면서 “무한한 심사(心事) 하소하노니 영령은 앞길을 가르치소서.”하며 끝을 맺고 있다. 망명지에서 독립운동의 정신적 지주였던 의암선생을 찾아 어렵게 광복된 조국이 혼란에 빠져 마음이 산란함을 하소연하고 조국의 앞날을 어찌해야할지 가르침을 호소하고 있는 것이다.

의병정신은 한마디로 애국정신이다. 의병정신의 뿌리는 깊다. 의병운동은 멀리 조선 중기 병자호란과 임진왜란까지 소급되는 외세배격운동이자 구국운동이다. 나라가 위기에 처하면 민초들이 일어나 구국의 대열에서 목숨 바쳐 싸우는 전통을 가진 나라는 많지 않은데 우리나라는 대표적인 국가다. 향촌사회에서 존경받는 선비가 거의(擧義)하여 의병장이 되고 백성들이 호응하여 의병이 되었다. 1895년 국모가 시해된 을미사변 이후 일어나기 시작한 한말 의병들은 1910년 망국 후 중국으로 망명하여 독립운동의 원류가 되었다. 그 의병의 총사령관이 바로 의암 유인석 선생일진데 춘천은 커다란 자부심의 원천을 갖고 있는 것이다.

춘천 가정리에 '강원학생교육원'을 세운 것은 무엇보다 그 장소가 갖고 있는 상징성을 중요하게 생각한 의도로 읽힌다. 천 마디 말보다 학생들을 데리고 와서 그 유적지에서 느끼게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가정리는 학생들에게 일주일씩이라도 의병정신을 통한 역사의식과 애국심을 일깨워 주는 성지가 되어야 한다. '강원학생교육원'이 그동안 어떻게 운영되어 왔는지 모르지만 보다 적극적인 역할이 요청된다.

그런데 바로 그 학교가 다른 목적으로 전용된다고 하니 안타까운 일이다. 2011년부터 문제학생의 대안학교로 되었다가 다시 국제대안학교(강원Wee스쿨)가 된다고 한다. 물론 대안학교는 중요하고 반드시 있어야 한다. 그런데 하필 '강원학생교육원'을 전용할 필요는 없다. 강원교육청은 '강원학생교육원' 본래의 정체성을 훼손하지 말고 강원도의 청소년들에게 의병정신을 고취시켜 애국심을 기르고 심성교육과 리더십 교육을 하는 본연의 역할을 강화 발전시켜야 한다. 그리고 대안학교는 그 학교의 목적에 맞게 접근성이 좋은 장소에 마련하는 것만이 상생의 길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