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가 크고 사나운 늑대를 무서워하나?
누가 크고 사나운 늑대를 무서워하나?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안톤숄츠. 코리아 컨설트 대표
세계 곳곳에 있는 나의 가족들과 친구들로부터 요근래 부쩍 안부를 묻는 메일들이 쏟아져 들어왔다. 그리고 김정은의 섬뜩한 협박에 대한 충격적인 머리말과 기사로 가득한 독일 온라인 뉴스를 읽는 것으로 매일 하루를 시작해왔다. 그러나 한국의 뉴스는 북측의 향후 동향보다는 태평스럽게도 K팝과 스포츠에 관해 좀 더 중요하게 다루는 듯해 보이기까지 했다. 이 나라는 북한의 가능할지도 모를 잠재적 핵공격과 전쟁 도발의 위협을 받고 있는데도 말이다. 1994년부터 대부분 한국에서 살아오고 있는 나로서 느끼는 위협 또한 한국이 직면한 공포에 대한 한국인의 태도와 같다. 그야말로 전쟁의 위기감을 달리 느끼지 못할 뿐만 아니라 무력에 의한 위협에 대해 실로 무서움을 들지 않는다.

나는 여전히 1994년 7월 8일 김일성이 사망했을 당시의 소요를 기억하고 있다. 김일성의 사망일 하루 전 한국에 막 도착했던 나는 사연을 제대로 모른 채 당시의 야단법석을 이해할 수 없었다. 추후 어쨌든 지금보다 더 걱정스럽긴 했던 것 같다. 그리고 북한의 암살단이 국경을 넘어 북한산까지 추적당했던 일 또한 기억한다. 지난 20년에 걸쳐온 오랜 시간 동안 계속되어 왔던 북측의 위협으로 있어왔던 모든 분쟁과 소규모의 충돌은 나의 공포심을 점차 잃게 만들었다는 생각이 들 정도다. 그래서 이번에 받고 있는 안부 질문에 대해 요즘 나와 나의 가족은 잘 있으며 피난처로의 구조를 위한 어떤 망명도 찾고 있지 않다고 이메일과 전화로 답하고 있다.

본래 북한의 위협은 약 2년 전 쓰나미가 일본을 강타하고 후쿠시마의 원자력발전소의 사고 위험과도 유사한 무서운 상황이다. 당시 서방측에서 읽고 있던 뉴스는 마치 북동아시아에 밀어닥칠 대재앙과도 같은 것이었고 반면에 이곳 한국에서의 우리 모두는 그 모든 일에 꽤나 느긋한 태도를 보였다. 그리고 마지막엔 사고 현장에 인접해서 살고 있던 일본인들을 제외하고는 별로 달라진 일도 없이 지나갔다.

위험한 지역에 가장 가깝게 살고 있으면서도 그 공포는 적게 느끼는 것 같은 우리네 삶은 그래서 더욱 신기한 모습이다. 그러나 독일에서는 특히 근래, 한국에서보다 북한에 대한 톱기사가 더욱 많았다. 한국의 승려들과의 인터뷰와 통일에 대한 그들의 생각, 그리고 거대한 로켓을 올라타고 있는 김정은의 이미지가 커버로 실린 독일 유력 시사 주간지인 ‘슈피겔’지(주당 백반부 이상이나 발행)까지 어디고 빠지는 곳이 없었다. 어떻게 이 계속되는 북측의 위협 이벤트에 대해 한국과 서양측의 지각이 이렇게도 다를 수 있단 말인가?

어쩌면 그 오랜 시간 동안 우린 학습하듯이 실제로 어떻게 북한이 움직이는지에 대해 배웠는지도 모르겠다. 그러면서 자연스럽게 공포속에서 공포심과 함께 살아가는 것과는 확실한 거리를 두고 살 수 있게 되었는지도 모르겠다. 그래서 서양 사람들에게 완전히 비이성적이며 거의 자폭하는 듯해 보이는 북한의 도발 상황은 한국인들에게는 아마도 그동안 끊임없이 있어왔던 북한의 위협과 공격 중 그저 지나가는 또 하나의 골칫거리로 보는 것일까? 심각하게 따지고 보면 북한의 대공격으로부터 누가 가장 이익을 얻는가? 누구도 아니다. 결국엔 북한조차 국가로 남지 않게 될 것이다. 얼마나 착각을 하든 미치든 김정은은 자신들을 알 것이다. 그리고 비논리적이며 미친 듯이 행동하는 것은 실제로 비논리적이고 미친것과는 완전히 다른 것이다. 그러나 만약 그런 척 행동해서 지속적인 글로벌 헤드라인을 장식할 수 있고 심지어는 미국에 겁을 주고 국제적인 정치적 영향력을 얻는 데 성공한다면 결국에는 말쑥하게 계획된 전략인 셈이다.

다행히 북한에서는 발견된 석유가 없어서 얻을 것이 없는 북한을 미국이 공격하는 것을 내켜 하진 않을 것이다. 그리고 확신하건대 김정은은 그걸 모르지는 않을 것이다. 그래서 이 상태에서 이대로 유지되는 것인가? 어쩌면 김정은이 어디론가 로켓을 발사하거나 핵탄을 테스트하겠다는 더 많은 위협을 계속해서 할 수도 있겠지만 지금은 아닐 것이다. 본격적인 전쟁은 없고 미국과 중국의 한반도에 대한 핵무기 공격 감행으로 서로를 공격하는 제 3차대전은 더더욱이 없을 말이다. 이 얘기는 재앙에 대해 어떤 흥미를 느끼는 이들에게는 실망스런 얘기로 다가올지도 모르겠다. 내 소견으로는 어쨌든 이 한반도의 위기가 유로 위기와 그 밖에 모든 문제들을 안고 있는 서구 사람들에게 당장 그들보다 오히려 더 심각한 문제에 봉착해 있는 사람들을 봄으로써 조금의 위안을 얻지는 않나 싶다. 이러한 내 추측이 서구 미디어들이 왜 이렇게 대대적으로 이 일을 선전하고 있는지, 그들이 우리가 실제로 들여다 봐야할 질문에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우울한 시나리오를 그리는데 그토록 관심을 두는지에 대한 하나의 설명일 수도 있지 않을까?

실로 질문은 전쟁이냐 전쟁이 아니냐가 아니라 어떻게 이 교착상태를 궁극적으로 풀어낼 수 있는가다. 이러한 일이 영원히 되풀이되어 김정은의 아들이나 딸이 20년이고 30년이고 계속해서 그 뒤를 잇게 할 것인가 아니면 과거 독일에서처럼 어떤 해결책을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인가다. 한국의 이 같은 숙제는 아마도 전쟁에 의해서나 외교에 의해서만은 결정되지는 않을 것이다. 그래서 더욱더 그 문제를 풀어내는 길과 방향에 초점을 맞춰야 할 것이다. 박근혜 대통령이 전 이명박 정부 때보다 북한에 대응하는 더 좋은 방법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인지의 여부는 곧 보게 될 것이다.

크고 나쁜 늑대를 죽이는 것이 단기적으로는 쉬울 수도 있다. 그러나 지금보다 더 나쁜 상황을 초래하게 될 수도 있다면 그 누구도 그건 원치 않을 것이다. 그렇다면 늑대를 길들인다는 것은 가능하긴 한 걸까? 여성적인 손길로 그 같은 기적이 이곳에서 일어날 수 있는지 모두가 함께 지켜 보게 될 것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