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의 달에 종교를 돌아본다
가정의 달에 종교를 돌아본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정옥자.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대한민국은 종교의 자유가 헌법에 보장된 나라이다. 이 말을 다시 말하면 대한민국에는 국교가 없다는 말과 같다. 그래서 국민은 누구나 종교를 선택할 권리가 있고 자신이 선택한 종교를 믿을 자유가 있다. 그런데 과연 이렇게 헌법에 규정되었다고 하여 종교문제가 쉽고 편안한 일일까?

전통시대에도 새로운 종교가 들어오면 기존의 종교와 부딪치면서 사단이 일어났다. 불교가 신라사회에 들어올 때도 이차돈의 순교가 있었다. 조선후기에도 천주교에 대한 저항이 만만치 않았다. 같은 사건을 천주교에서는 박해(迫害)라고 하지만 공식기록에는 사옥(邪獄)이라 기록되어 있다. 이 두 개의 용어는 인식의 차이를 잘 보여주고 있다.

그 후에 기독교도 들어와 우리 사회는 불교, 기독교, 천주교 등으로 대분되는 종교지도를 갖게 되었다. 그 외에 대종교나 천도교 등 민족종교도 존재하지만 교세는 미약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상에서 열거한 종교, 그 어디에도 귀속되지 않는 사람은 무교(無敎)라고 하지만 사실은 유교라고 하는 편이 맞다. 왜냐하면 조상을 숭배하는 유교적 제의인 제사를 지내고 유교적 가치관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다양한 종교지도를 가진 만큼 문제도 있다. 그 중의 하나가 가정의례문제이다.

가정에서 행하는 대표적인 의례가 제사이다. 제사는 아득한 옛날부터 있어왔지만 유교적 제의가 확고하게 뿌리 내린 것은 조선후기이다. 신분을 불문하고 제사는 효도의 구현으로 제사 안 지내는 이는 사람취급을 받지 못하는 사회분위기가 조성되었다. 그래서 여인들이 머리를 잘라 팔아 제사비용을 마련한다거나 무엇에 쪼들리는 상황을 “가난한 집 제삿날 돌아오듯 한다.”는 말이 생겨났다.

종교가 다양화된 현재도 제사는 제일 큰 가정의 행사이고 친척간의 화합에 큰 역할을 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문제는 우리사회가 도시화하고 핵가족화하고 있다는데 있다. 아파트생활을 하면서 많은 친척들이 모일 공간이 부족하고 직장생활을 하므로 제사시간을 조정하는 일도 만만치 않으며 특히 제물을 준비하는 일을 고역으로 여기게 되었다.

전통시대는 농경사회였고 마을 중심으로 친척들이 모여 사는 경우가 많았다. 공간도 터져 있어서 마당에서라도 자리 깔고 지내면 되었다. 제물준비도 친척들이 모여 다 함께 준비하면서 축제분위기까지 있었다. 제삿날이 맛있는 음식 마음껏 먹고 영양분을 보충할 수 있는 기회였기에 더욱 풍성한 제사를 기획했을 터이다.

그러나 지금은 살 빼는 일이 사람들의 중요관심사가 된 시대다. 자기직전에 제사지내고 음복하는 일은 피하고 싶은 일이 되어버렸다. 제물을 약소하게 차리면 조상님께 죄송하고 많이 차리는 것은 과소비가 되는 이율배반이 되고 말았다. 결국 제사음식을 버리는 일까지 생겨나고 어차피 먹지도 않는 제사음식 애써 만들 필요 없으니 차라리 주문하여 제사지내자는 풍조까지 생겨났다. 헌데 정성이 빠진 제사는 허례가 되어 의미가 없는 것이다.

또 맏아들 우울증이라는 것이 있다. 권리는 따로 없는데 제사, 부모님 모시기 등 의무만 남아서 맏아들은 물론 맏며느리를 옥죄는 사슬이 된 것이다.그래서 외국에 이민 간 사람들 중엔 맏아들 맏며느리가 많다는 이야기도 있다. 이제 제사는 조상님을 정성껏 모시고 추모하는 성스러운 의식이 아니라 후손에게 짐이 되는 허식이 되어가고 있다.

이런 문제를 타개하기 위하여 가정의례준칙을 만들어 국가에서 간편화 작업도 했지만 큰 도움이 안 되고 있다. 옛날부터 가가례(家家禮)라고 하여 집집마다 제물이 조금씩 다르고 제사법도 조금씩 차별성이 있었던 법도가 집집마다 전승되고 있으므로 일률적으로 하기 어려운데다 종교생활이 다변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해법은 자신의 종교에 맞는 제의를 행하면 되고 이중제의를 할 필요는 없다고 본다. 제사도 과유불급(過猶不及)이다.

종교 창시자들은 인류를 구원하려는 원대한 뜻을 품고 뼈를 깎는 아픔을 겪으며 구도의 길을 걸어 마침내 인류에게 구원의 메시지를 설파하였다. 그분들은 인간의 한계를 뛰어넘은 족적을 보여준 위대한 스승들이다. 그분들의 경유하는 길은 달랐지만 목적지는 같았다고 생각한다.(2013.5)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