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국제컨벤션센터와 사회적 책임
제주국제컨벤션센터와 사회적 책임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제주도는 5년 전 도민, 도.시.군, 관광업체의 출자, 국비 지원 등 총 1806억원을 들여 제주국제컨벤션센터를 짓기로 하였다. 이제 완공을 두 달여 남겨놓고 있는데 향후 운영계획을 놓고 말이 많다. 수지가 맞지 않는다는 둥, 예산만 잡아먹는 사업이라는 둥, 지역경제 부양 효과가 돈으로 환산되기 어렵다는 둥, 심지어는 국제회의 유치의 파급 효과에 대한 환상에 젖어서 시작한 사업이라고 하기까지 한다.

웃기는 얘기다. 이런 얘기들은 건설 여부를 결정하기 전에 이미 이루어졌어야 하는 것들이다. 그걸 이제 와서 거론하는 것 자체가 웃기는 노릇이다. 만일 건설 여부를 결정하는 데 이에 대한 고려가 없었다면 상식 이하의 계획을 세운 것이다. 틀림없이 관계 당국에서는 득과 실을 따졌을 것이다. 그것이 딱 들어맞는 숫자로 표현될 성질의 것은 아니지만 틀림없이 수지를 계산해 볼 때 득이 많았기 때문에 건설이 결정되었을 것이다.

게다가 5년 전과 현재를 비교해 보면, 제주국제자유도시 계획도 수립되었고 관련 법률도 국회를 통과하였다. 정상회담 개최 등으로 평화의 섬으로서의 제주의 긍정적 이미지도 부각되고 있다. 또 국내외 회의 개최도 유례없이 증가하는 등 컨벤션센터의 사업성은 더욱 유망해졌는 데도 미적거리는 것은 무슨 이유일까?

국제컨벤션센터의 적자 운영문제도 마찬가지다. 컨벤션센터를 지어놓고 컨벤션센터의 수입과 지출을 비교하면 적자 운영이 당연하다. 컨벤션센터의 자체 수입을 보고 시작한 일이 아니다. 컨벤션에 참가한 참가자들이 컨벤션센터에 지불한 돈만 고려할 것이 아니다. 이들이 제주에서 먹고 자고 관광하면서 지출한 돈이 고스란히 제주에 남고 이를 통해서 관련 산업이 활성화되고 고용이 창출되어 결국에는 제주에서 거둘 수 있는 세금이 늘어나는 것까지를 고려해야 한다. 단지 국제컨벤션센터의 수지만을 놓고 시작한 일이 아닌 것이다. 그런데 ‘적자 운영문제’로 이름 붙여놓고 문제시하니 모르는 사람들이야 그런가 보다 할 수밖에 없지 않은가?

수지를 따지는 데도 안목이 필요하다. 요즘 자주 언론에 거론되고 있는 국제원자력기구(IAEA)를 보자. 직원 3000여 명이 근무하는 국제원자력기구의 1년치 건물임대료가 1달러라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거의 없다. 그러나 국제기구를 비엔나에 유치함으로써 회원국의 분담금이 결국 비엔나로 모이고 상당수 현지 직원을 고용하게 되고 직원들이 비엔나에서 생활을 영위하며 전세계 회원국 대표, 전문가가 결국 비엔나를 방문하게 되면 건물임대료를 덜 받아서 발생한 손해는 쉽사리 메울 수 있는 것이다. 게다가 국제기구를 하나 유치하게 되면 엄청난 국방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국제기구가 소재한 국가와 전쟁을 치른다는 것은 전세계와 전쟁을 치르는 것과 같기 때문이다.

설사 당초부터 무리한 계획을 세워 컨벤션센터를 추진한 것이라 할지라도 이제 와서 어쩌겠는가? 도로 무를 수도 없는 것이 아닌가? 국제컨벤션센터를 남의 것인 양 하면 안 될 것이다. 국제컨벤션센터는 이제 우리의 것이다. 비판하기보다는 부족한 부분은 채찍질하고 도와주면서 어떻게 하면 잘 이끌고 나갈 것인가를 생각해야 할 때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