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통일을 향한 사회 문화 교류의 과제
한반도 통일을 향한 사회 문화 교류의 과제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이배용. 한국학중앙연구원장
   
내년이면 광복 70주년이 된다. 해방의 기쁨도 잠시, 분단된 지 긴 세월이 흘렀지만 여전히 한반도 통일의 출구전략은 막연하기만 하다. 시간이 갈수록 남북한 주민들의 민족동질성은 더욱 희박해지고 오히려 적대감과 거부감의 간격은 커지고 있다. 그러므로 사회 문화교류의 확대는 무엇보다도 남북한의 이질성을 해소할 수 있고 궁극적으로는 상호존중성을 가질 수 있는 기본 척도가 된다.

지난달 박근혜 대통령의 드레스덴 선언은 한반도의 통일시대를 여는 데 한 걸음 나아가는 중대한 제안이라 생각한다. 왜냐하면 통일은 목적의 끝이 아니라 또 하나의 새로운 시작이기 때문에 당위론적 통일의 주장을 뛰어넘어 바람직한 통일을 이루기 위한 진지한 공론의 장이 무엇보다도 필요함을 제시한 것이다.

앞으로 남북한 사회 문화 이질화의 극복 방안으로 다음의 과제를 생각해 볼 수 있다. 첫째,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가 실행되는 전제 안에서 민간교류의 확대가 지속적으로 추진돼야 한다. 이제 1세대가 타계하고 2세대 시대로 들어서면서 서로의 동질감에 대한 기억이 점점 희석되어가고 있다. 가족과 친지방문이 상호 확대돼 서로의 동질감을 인식해야 한다.

둘째, 전통문화의 복원을 통한 동질성의 확보이다. 일제 식민지 시대에 우리 전통문화가 파괴된 것도 남·북한이 서로 협력하여 조사 및 복원에 착수해야 한다. 그동안 남한은 세계화 추진으로 인해 전통문화가 주목받지 못했고, 북한은 혁명화로 인해 전통이 부정됐다. 이제 가장 한국적인 것이 세계적이라는 인식 아래 남·북한이 가지고 있는 전통문화 콘텐츠를 개발하고 현대적으로 스토리텔링화 해 민족의 자긍심을 높여 세계화의 문화전략으로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가치와 규범의 공감대 확산이다. 남·북한은 공히 조상숭배의 효 사상, 공동체적 질서, 미풍양속의 명절풍습 등을 가지고 있다. 동양정신의 가치가 부상되는 이 시기에 미래지향적인 세계화의 자산으로 키울 수 있다.

넷째, 통일은 남·북한이 같은 민족이고 역사공동체라는 인식에서 필연성이 있다. 그런데 지금은 너무나 역사인식에 차이가 크다. 올바른 역사인식의 토대를 구축해 민족공동체의 동질성을 정착시켜야 한다. 한국의 역사와 문화는 우리의 뿌리를 찾아주고 하나로 묶어주어 진정한 동행의 길을 열어 갈 수 있는 중심축이다.

다섯째, 남·북한 차세대에 대한 인성교육 및 통일교육의 중요성이다. 자유, 정의, 정직, 상호존중의 배려, 인간의 존엄성, 인류공존의 평화 등 이러한 교육이 남북한 공동으로 시행되어야 한다. 한류, IT문화가 북한으로 확산됐을 때 서로간의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고, 문화적·정서적 장벽을 눈 녹듯이 해소할 수 있다. 싸이의 강남스타일 말춤이 온 세계를 흔드는데 어찌 북한 청소년만이 이질감을 느끼겠는가? 차세대들의 높은 이상과 꿈을 실현하기 위해 민족의 자긍심을 불어넣고 글로벌 리더로 키워 한민족의 세계적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

앞으로 한반도의 분단은 국제적 협력과 지지를 이끌어내야 한다. 남·북한의 노력과 합의로 경의선 철도가 뚫려 시베리아로, 유럽으로 달릴 때 기차역에서 때로는 기차간에서 그동안 고단했던 삶을 이야기하고 위로할 때 민족의 화합과 내일의 희망을 열어갈 수 있을 것이다. 미래를 짊어지고 갈 자손들에게는 분단의 아픔과 동족끼리의 미움과 갈등을 대물림하지 말아야 한다는 진정한 마음의 노래가 울려 퍼질 때 한반도 통일의 길이 밝게 펼쳐질 것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