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과학단지, 새 전략 짜야
첨단과학단지, 새 전략 짜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과학기술특구’는 노무현 대통령 당선자의 선거공약이다. 우리는 바로 이 ‘과학기술특구’가 제주국제자유도시 7대 선도 프로젝트 중의 하나인 ‘첨단과학기술단지’와 사업성격이 비슷하다는 점에서 관심을 가져왔다.

엊그제 과학기술부는 노 당선자의 선거공약 이행을 위해 ‘국가연구개발특구법’ 제정 계획을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 보고함으로써 과학기술특구 조성 사업이 예상보다 빨리 추진될 것 같다.

과학특구 대상지는 노 당선자가 검토해 보겠다고 약속한 대덕, 진주/사천 등 6곳이 될지 더 기다려 보아야 알 일이다. 다만 정부의 의중은 ‘새로운 첨단 산업단지보다 이미 조성이 끝난 단지의 연구 개발 활성화에 역점을 두고 특구를 지정한다’는 것이어서 제주첨단과학기술단지가 어떤 형태로든 상당한 영향을 받게 될 것이라는 점은 분명하다.

그러잖아도 제주국제자유도시는 전국 주요 지역들의 경제특구지정으로 국외는 물론, 국내 도시들과 치열한 경쟁을 벌여야 할 입장에 놓여 있다. 그런데 이제 다시 다른 지방의 과학기술특구 지정으로 제주국제자유도시의 주요 사업인 첨단과학기술단지마저 매우 강력한 경쟁 상대들을 만나게 되었으니 이만저만 걱정이 아니다.

과학기술특구에서는 국내외 기업, 대학, 연구소 등에 대해 조세 감면 등이 주어질 텐데, 이는 결국 제주첨단과학기술단지와 유사한 것이 된다. 따라서 인력과 재원이 절대 필수인 첨단과학기술단지가 과학기술특구와의 경쟁에서 뒤지지 않으려면 이에 상응한 전략을 새로 짜지 않으면 안된다.

문제는 정부의 프로젝트들을 어떻게 유치하느냐가 관건이다. 제주도내의 학계에서도 1000억원 이상 규모의 정부 프로젝트 2~3개 정도만 유치할 수 있어도 전문연구인력이 유입돼 단지 조성을 성공시킬 수가 있다고 말한다. 하지만 그게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내국인면세점 수익금으로 제주국제자유도시 투자액을 주로 충당하려는 정부로서는 국비지원에 상당히 인색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런 정책 변화에도 불구하고 국제자유도시 핵심 사업인 첨단과학기술단지 조성을 포기할 수는 없는 일이다. 마침 국제자유도시특별법이 개정 중에 있고, 관련 종합계획도 아직 확정이 안 됐으므로 과학기술특구의 대응 전략을 충분히 세워 법과 계획에 모두 반영시켜야 될 줄 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