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망 면적 모두 폐원을
희망 면적 모두 폐원을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올해 감귤원 폐원 희망 면적이 2028농가 1226㏊라고 한다. 이는 금년도 도내 부적지 감귤원 폐원계획 315㏊의 약 4배다. 문제는 이처럼 수많은 감귤재배자들로부터 엄청난 면적의 폐원 신청이 접수되고 있으나 예산 부족으로 모두 받아들이지 못하는 데 있다.

현재 확보된 2003년도 부적지 감귤원 폐원 예산은 315㏊에 90억원이 고작이다. 나머지 신청분 911㏊까지 폐원하려면 추가로 278억원이라는 예산이 더 필요하다는 결론이다. 결국 예산 사정으로 계획 면적 이외의 신청 면적은 폐원할 수 있는 길이 막혀 버린 상태다.

예년에 비해 올해 감귤원 폐원 희망 농가가 급격히 불어난 것은 과잉 생산으로 인한 가격 폭락 때문이다. 그래서 감귤농가들은 너도나도 폐원을 자청하고 나선 것이다.

제주산 감귤이 제값을 받기 위해서는 뭐니뭐니해도 맛좋은 감귤과 적정량 생산뿐이다. 물론, 수출 등 소비시장을 확대하는 방법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그게 생각처럼 쉽지가 않다. 그렇다면 현실적으로 감귤을 살릴 수 있는 길은 폐원에 의한 적정량 유지와 맛좋은 귤을 생산해 내는 수밖에 없다.

특히 행정 당국은 감귤원 폐원에 대해 사고를 적극적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을 것 같다. 외국 수출에서 발생하는 결손금 보전도 좋고, 해외 판촉 및 홍보 활동도 좋다. 그러나 그것보다 더 효과적이요, 당장 절실한 것이 폐원이다. 감귤 정책 중 가장 시급한 것이 폐원이란 뜻이다.

수출과 해외 판촉-홍보 등을 재검토해서라도 그에 따른 예산과 감귤 관련 각종 기금을 한데 모아 오로지 폐원하는 데 중점 투입하는 게 현명한 일인지 모른다. 현재 추진 중인 오렌지 수입 관세의 제주 투자가 성공할 경우 그마저 폐원 예산으로 활용할 수 있다면 더 더욱 바람직하다.

지금 제주도내 총 감귤 재배 면적은 약 2만5000㏊다. 만약 올해 폐원 희망 면적 1226㏊만큼씩 해마다 5~6년간만 줄여 나갈 수 있다면 생산 과잉 현상은 사라질 것임이 분명하다.

그리고 앞으로는 폐원 대상을 부적지 감귤원으로만 한정할 필요도 없다. 비록 적지라 하더라도 희망할 경우는 모두 폐원하는 게 좋을 성싶다. 아마 그러한 날이 온다면 해외 판촉-홍보-수출 등은 의미가 달라질 듯하다.
재배 농가들이 자진 폐원코자 할 때를 놓치지 말고 과감히 예산을 투입하는 것이 최선책일 것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