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세기만에 열린 금강산 陸路
반세기만에 열린 금강산 陸路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금강산 육로관광을 위한 86명의 실무진 사전답사가 지난 5일부터 1박2일 동안 실시됐다. 비록 길지 않은 39.4㎞의 길이지만, 철조망으로 굳게 닫혔던 비무장지대(DMZ)를 열고 드디어 남과 북을 이은 것이다. 1953년 휴전협정 이후 남.북 간 육로가 트인 것은 판문점을 제외하면 실로 50년 만에 처음 있는 일이다.

북핵(北核) 위기,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임동원 특사 면담 거부, 현대상선의 거액 북한 송금설 등으로 남.북관계가 어수선함에도 불구하고 금강산 육로관광이 첫 걸음을 내디딘 것은 분명 역사적이라 평가해도 좋을 것 같다.

현대아산측은 앞으로 두 차례의 시범관광을 거쳐 이달 말부터 본격적으로 금강산 육로관광에 들어갈 계획이라는 소식이다. 이 사업이 계획대로 될 경우 해로(海路)관광과 더불어 금강산 관광은 활기를 띠게 될지도 모른다.

그러나 금강산 육로관광이 아무리 민간차원의 남.북경협사업이요, 북한에 더 큰 득이 되는 일이라 하더라도 향후 전망에 대해서는 확실한 보장이 아직 없다. ‘핵’과 ‘거액 송금설’로 인한 남.북관계와 한.미, 북.미관계가 매우 유동적이기 때문이다. 금강산 육로관광이 남.북 간 민간 경협사업이긴 하나 한반도를 둘러싼 국내외적 정치.안보.외교 등의 정세변화에 무관하게 초연할 수는 없는 일 아닌가.

우리는 반세기 만에 열리기 시작한 금강산 육로관광이 일시적이 아니라 항구적으로 성공하기를 바란다. 이 사업은 남.북 간 현안인 경의선.동해선 등 남.북 철도 연결, 개성공단 건설, 이산가족 면회소 설치, 금강산 수자원 개발사업 등등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줄 중요 사안이기에 그렇다. 뿐만 아니라 멀리는 통일의 첫 걸음마일 수도 있다.

그러기에 우리는 금강산 육로관광의 항구적 성공을 위해 북한의 태도 변화를 요구한다. 그 첫째가 핵포기 선언이며, 다음이 북.미관계 개선이다. 한반도 안보에 위기가 상존한다면 남.북의 민간 경협도 결코 순조롭지 못할 줄 안다.

그리고 북한은 이제까지보다 더 적극적으로 남한과의 대화에 나서야 한다. 김대중 대통령의 친서를 갖고 방북한 특사를 문전박대하듯 면담을 거부하는 그러한 결례는 남.북 대화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남한 정치권 역시 앞으로는 대북 관계에 좀더 전향적으로 나설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