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 '아슬아슬한' 진정세…불씨 되살아날까
메르스 '아슬아슬한' 진정세…불씨 되살아날까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신규 환자수 정체 이어가지만 삼성서울병원 등 추가 감염 우려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발생 추세가 며칠째 진정세를 유지하고 있으나 곳곳에서 산발적인 환자 발생이 끊이지 않고 있다.

   

특히 삼성서울병원에서 137번 응급 이송요원으로부터 감염된 것으로 보이는 추가 환자가 나오는 등 '3차 유행'의 불씨가 아직 꺼지지 않고 있어 살얼음판을 걷는 분위기다.

   

23일 보건복지부 중앙메르스관리대책본부에 따르면 전날 3명의 신규 환자가 추가로 메르스 확진 판정을 받아 총 환자수가 175명으로 늘어났다.

   

메르스 신규 확진자 수는 지난 17일 3명, 18일 1명, 19일 0명으로 줄어들다가 20∼22일 3일 연속 3명으로 며칠째 소강상태를 이어가고 있다.

   

그러나 환자들의 감염 경로를 보면 안심할 수만은 없는 상황이다.

   

이번에 확진을 받은 174번 환자(75)의 경우 지난 4일, 8일, 9일에 삼성서울병원에 내원한 환자다.

   

그동안 삼성서울병원에서 발생한 80여 명의 환자는 이른바 '슈퍼 전파자'인 14번 환자(35)가 지난달 27∼29일 삼성서울병원 응급실에 방문했을 때 응급실 안팎에서 접촉한 환자들이거나, 이 병원에서 메르스 확진환자를 치료하던 의료진이었다.

   

그러나 이 환자는 이 두 경우에 모두 해당하지 않는다.

   

방역당국은 174번 환자에 대해 "지금 역학조사가 진행 중"이라며 "다른 확진 환자가 확진 이전에 외래 진료를 받는 과정에서 노출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환자의 경우 이 병원 환자 이송요원인 137번 환자(55)가 메르스 증상이 나타난 이후 근무했던 2∼10일 사이 병원 방문객 전체를 대상으로 감염여부를 관리하는 과정에서 증상이 확인됐으나, 137번 환자와의 접촉 가능성은 일단 없는 것으로 방역당국은 판단했다.

   

그렇다면 137번 환자 외에 다른 환자도 이달 초 삼성서울병원에 메르스 바이러스를 전파했다는 뜻이어서 역학조사 결과에 따라서는 삼성서울병원의 노출 범위와 기간을 다시 설정해야할 수도 있다.

   

앞으로 137번 환자로 인한 감염자가 나올 가능성도 역시 배제할 수 없다.

   

당초 방역당국과 병원측은 137번 환자로 인한 대규모 전파를 우려해 잠복기가 끝나는 24일까지 병원 부분 폐쇄를 단행하고 이 기간 방문자를 전수 조사하는 등 관리를 강화해왔다.

   

잠복기가 끝나가긴 하지만 확진이 늦어져 잠복기 이후 최대 9∼10일까지 환자 확진이 이어진 전례를 감안할 때 잠복기 이후에도 추이를 지켜볼 필요가 있다.

   

또다른 신규 확진자 173번 환자(70·여)가 방역망에서 벗어난 채 여러 병원을 전전한 사실도 확인돼 우려를 낳는다.

   

 이 환자는 지난 5일 강동경희대병원 응급실을 방문한 환자의 요양보호사로, 같은 시간 응급실에 있던 76번 환자에게 감염됐다.

   

그러나 당시 응급실 방문사실이 당국에 확인되지 않아 자가격리 등의 조치도 받지 못했고, 강동성심병원을 비롯한 의료기관 4곳을 거친 후에야 확진 판정을 받았다.

   

방역당국은 이들 병원을 통한 추가 전파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해 강동성심병원의 외래·입원·수술을 중단하고 외래·입원 병동을 폐쇄했으며, 이들 병원의 방문자 파악에 나섰다.

   

이 환자처럼 76번 환자로 인한 강동경희대병원 내 감염은 잠복기를 감안할 때 추가로 나와도 많지 않을 것으로 보이지만, 또다른 확진자인 165번 환자(79)가 다녀간 이 병원 투석실을 통한 추가 감염에 대한 우려는 아직 가시지 않고 있다.

   

역시 역학조사가 끝나지 않은 신규 확진자인 175번 환자(74)의 경우 가족 간 감염이 의심되는 사례다.

   

이 환자는 평택굿모닝병원에서 메르스에 감염돼 치료 중 사망한 118번 환자(67·여)의 남편으로, 118번 환자가 격리되기 전까지 함께 생활했다.

   

정은경 질병관리본부 질병예방센터장은 "118번 환자가 격리 전까지 증상이 있으셨기 때문에 가족 내 감염으로 추정하고 있다"며 "정확한 감염경로는 정밀한 역학조사와 전문가들의 검토를 거쳐 확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지금까지 부부와 모자 환자 등을 비롯해 가족내 감염이 의심된 사례가 있긴 했으나 함께 병원에 다녀온 적이 있다는 점에서 방역당국은 병원 내 감염으로 분류하거나 감염경로 미확인으로 두곤 했다.

   

175번 환자가 분명한 가족 감염 사례로 확인되면, 추가 가족 감염 사례에 대비해 자가격리 방식 등을 재점검할 필요성도 제기될 수 있다.<연합뉴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