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 더 이상 남의 일 아니다
치매, 더 이상 남의 일 아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김대영. 사회부장
100세 시대가 도래하면서 ‘오래 살게 됐을 때 가장 걱정되는 병이 무엇인가?’라고 물으면 노인 80%가 치매라고 답하고 있다.

그도 그럴 것이 치매에 걸릴 경우 자신은 물론 가족에게도 엄청난 고통을 동반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치매는 노년의 삶을 위협하는 최대의 적이 되고 있다.

실제 제주지역에서도 치매를 앓고 있는 노인들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치매 등록 환자 수를 보면 2010년 1314명에서 2012년 3062명, 2013년 4208명, 2014년 4379명 등으로 4년 사이 무려 3배 이상 급증했다.

올해는 6월 말 현재 4404명이다.

주변의 시선을 의식해 등록하지 않은 환자 수까지 감안하면 실제는 이보다 훨씬 많을 것으로 추측된다.

여기에 65세 이상 노인 인구에서 치매환자가 차지하는 비율인 유병률은 제주지역의 경우 11.1%로 전국 평균 유병률 9.4%에 비해 크게 높은 실정이다.

이렇게 볼 때 제주지역 실제 치매환자는 9000명을 넘어선 것으로 추정된다.

치매환자가 급증하면서 제주지역 치매환자 실종 신고도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

연도별 치매환자 실종 신고는 2011년 54건에서 2012년 89건, 2013년 93건, 2014년 108건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

2011년 대비 증가율이 100%로 전국 최고 수준을 보이고 있다.

상황이 이렇지만 치매에 대한 대책은 여전히 사회가 아닌 가정의 몫이 되고 있다.

장기요양보험 1~4등급 내에 들지 못할 경우 치매환자 보호는 자녀와 배우자 등 가족들이 떠안아야 하기 때문이다.

특히 치매는 환자 본인뿐만 아니라 보호자들도 정상 생활을 하기 힘들어지면서 질병에 따른 빈곤층이 늘어나는 원인도 되고 있다.

치매는 더 이상 남의 일이 아니다.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면서 고령화 사회의 그늘로 자리잡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효과적인 치매 관리를 위한 인프라는 열악하기 그지없다.

오는 10월부터 광역치매센터가 제주대학교병원에 설치돼 운영에 들어간다고는 하지만 아직 가야할 길이 멀다.

여기에 치매거점병원도 없고, 제주지역 보건소의 치매상담센터는 담당자 대부분이 다른 업무와 겸임하고 있기 때문에 담당 인력 확보에 소극적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최근 한 보고서는 “제주지역은 치매 진단 공백이 높아 지방자치단체와 병원급 의료기관의 협조체계를 구축해 진단 공백을 줄이는 노력이 필요하다”며 “또한 기존의 보건 업무를 담당하는 인력을 치매 업무에 투입해 적극적인 치매관리 사업 추진에 한계가 있을 수 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이와 함께 요양시설도 턱 없이 부족하다.

현재 요양시설은 62곳으로 수용 인원이 3500여 명에 불과하다.

효과적인 치매 관리를 위한 인프라 확충이 시급히 요구되는 대목이다.

치매환자에 대한 효율적인 치료와 보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지역사회 네트워크 구성도 필요하다.

여기에 치매환자 가족들의 부담을 덜어 줄 수 있도록 장기요양보험의 문턱도 낮춰야 한다.

제주특별자치도 차원에서 광역치매센터 운영과 맞물려 제주지역 치매율이 높은 원인 등에 대한 연구와 지역에 맞는 치매 예방 프로그램 개발, 치매 상담 협업체계 구축 등 체계적인 치매 관리를 위한 종합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