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성황후 시해 120주년 추모의 역사적 의미
명성황후 시해 120주년 추모의 역사적 의미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이배용. 한국학중앙연구원장
   
올해가 명성황후(1851~1895) 시해 120주년이 되는 해이다. 바로 1895년 을미년 10월 8일 새벽 5시 일국의 국모를 구중궁궐까지 쳐들어와 시해한 일본의 만행이 저질러진 날이다.

명성황후에 대한 당시 사람들의 묘사를 살펴보면 아름답고 총명하고 기품 있고 사교적이고 매우 독서열이 강하였다는 평판을 받고 있다. 처음에 왕비가 된 명성황후는 대원군과 부대부인을 잘 섬기고 궁중의 모든 어른들과 궁인들에게도 잘 대하여 궁내에 칭송이 자자하였으나 정작 지아비인 고종황제에게는 따뜻한 사랑을 받지 못하였다. 그러던 차에 1868년 윤4월에 고종황제의 사랑을 받던 궁인이씨에게서 완화군이 태어나자 명성황후의 입지가 어렵게 되었다. 그러나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 등의 독서를 열심히 연마하면서 고종황제에게 여인으로서 보다 정치적 반려자로 다가가기 시작하였다.

명성황후가 살았던 1851~1895년 동안은 한국 역사에서 국·내외적으로 격변이 심했던 시기였다. 안으로는 봉건체제에 도전하는 민중세력이 형성되고 있었고, 밖으로는 서세동점의 물결 속에서 제국주의 침략이 노골화되던 상황이었다. 즉 근대화를 추진해야 되는 과제와 외세의 침략을 막아내야 하는 이중의 부담이 안겨졌던 시기였다.

이러한 시대 상황에서 독자적인 정치적 지지기반을 갖지 못한 고종은 그의 친정 의지를 실현시키고자 명성황후를 통해 민씨 친족세력을 정치적 배후세력으로 활용할 수 있었으며, 유교적 윤리관에 입각해 아버지인 대원군에 대한 정면 도전을 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명성황후를 전면에 내세워 우회적으로 공략할 수 있었다. 즉, 대원군의 고종황제에 대한 직접적인 도전은 유교적 충의 윤리에 어긋나고, 반면에 고종황제의 대원군에 대한 도적전은 유교적 효의 윤리에 어긋나기 때문이다.

명성황후는 정치적 격변기 속에서 정치주도권을 둘러싸고 초래될 수 있는 아버지와 아들의 정면충돌을 피할 수 있게 한 방파제 역할을 하였으며, 자신의 정치적 기반을 통해 고종황제를 보좌하여 왕권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였다. 또한 대외관계를 기민하게 파악하고 대처하여 어느 정도 일본의 침략을 막아내는 데 큰 역할을 하였다.

당시 고종황제와 명성황후의 관계에 대해 서술한 외국인들의 기술을 보면 하나같이 명성황후가 총명하고 외교력과 정치력이 뛰어났음을 묘사하고 있다.

청국과 일본의 각축이 치열한 상황에서 명성황후는 세력 균형의 외교정책을 통해 이들 국가들을 견제했다. 특히, 청일전쟁 이후 일본의 내정 간섭이 심해지자, 더욱 적극적으로 친러배일정책을 추진했다. 이에 일본은 조선 병합의 최대 장애물로 명성황후를 지목하게 됐고, 결국 주도면밀한 계획 하에 1895년 10월 일본 군대와 낭인들이 왕궁을 습격하여 을미사변을 일으켰다. 이 때 명성황후는 나이 45세로 일본에 의해 시해당하는 만행이 이루어졌다.

명성황후가 시해된 이후 조선은 열강들이 내세우는 최혜국 조관에 의해 이권 획득의 각축장이 되었다. 그로부터 10년 후, 일본은 강제로 한국을 보호국화하고 15년 만에 식민지화의 야욕을 달성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사태는 철저한 반일주의자였던 개화기 명성황후의 정치적 입지의 중요성을 가늠하는 데 매우 중요한 시사점이 되는 것이다. 우리나라가 35년 만에 빼앗긴 나라를 되찾고 광복 70년에 대한민국의 성취를 이룬 것은 명성황후를 비롯한 애국열사, 독립투사들의 희생이 뿌리가 되고 가지가 되어 열매를 맺은 것이다.

이제 일본당국은 명성황후 시해를 인정하고 사죄해야 한다. 진실된 역사반성 위에서 앞으로 한일 간의 진정한 화해와 상생의 시대를 열어갈 수 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