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입성 준비하는 노무현 사람들
청와대 입성 준비하는 노무현 사람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시민단체·여성 인사 대거 참여

노무현 새 대통령의 청와대 진용 구축이 완료됐다.

우선 장관급 정책실장과 국가안보보좌관에 이정우 인수위 경제1분과 간사와 라종일 주영대사를 각각 내정했다.

또 차관급 정책수석에 권오규 조달청장, 외교보좌관에 반기문 전 외교부 차관, 국방보좌관에 김희상 전 국방대 총장, 정보과학기술 보좌관에 김태유 서울대 교수를 내정했다.

이로써 문희상 비서실장 외 정책실장 및 정무, 정책, 민정, 홍보, 국민참여 등 5개 수석 및 국가안보, 외교, 국방, 경제, 인사, 정보과학기술 보좌관 등 6개 보좌관 가운데 경제보좌관만 빼고 모든 주요직 인선이 마무리됐다.

이와 함께 새 청와대 비서관 진용은 주로 1970~1980년대 민주화 운동세력과 1990년 시민운동단체 인사들이 대거 포진하고 여성인사가 과거에 비해 많이 참여한 게 특징이다.

노무현 새 대통령의 탄생으로 예고됐던 ‘주류’ 교체가 적어도 청와대에서만큼은 이미 완료된 것으로 보이며 이 같은 추세가 다른 분야에서도 어떤 형태로 반영될지 주목된다.

민정1비서관으로 내정된 이호철씨는 부산대 학생운동권 출신으로, 1981년 부산학생운동조직사건인 부림사건으로 투옥된 바 있다.

그는 이 사건 변론과정에서 당시 노무현 변호사와 만나 지금까지 인연을 계속 갖고 있는 최측근이다.

연세대를 졸업한 윤태영 연설담당 비서관 내정자(42)는 1981년 교내 시위 과정에서 유인물을 돌리다 집시법 위반으로 구속돼 8개월간 옥살이를 했고 김만수 보도지원 비서관(40)도 1987년 구국학생동맹사건에 연루돼 6개월간 옥고를 치르다 6.29선언 때 집행유예로 풀려났다.

특히 윤 비서관과 김 비서관은 연세대 선후배간이자 고향과 처가가 제주도라는 인연을 맺고 있어 주목된다.

이광재 국정상황실장은 1980년대 학생운동을 거쳐 공장 노동자로 취업, 민주화운동을 연장하다가 구속된 경력이 있다.

그는 1989년부터 노 당선자의 의원 보좌관 등으로 일하며 실세 기획참모로 자리잡았다.

시민사회단체를 담당하는 사회1비서관에 내정된 장준영 당선자 비서실 차장은 성대 재학시절인 1978년 서울시내 6개 대학 연합시위를 준비하다 붙잡혀 긴급조치 9호 위반으로 10개월간 감방신세를 졌다.

또 직능단체를 담당할 김용석 사회2비서관 내정자도 1975년 가톨릭학생회 사건을 주도하다 긴급조치 9호 위반으로 구속돼 내정자들 가운데 최장기인 4년여 간의 옥고를 치렀다.

이들 외에도 향후 대통령 수행 등을 위해 청와대에 포진할 여택수 수행팀장(고려대 부총학생회장) 등은 모두 대학시절 총학생회 지도부를 형성하는 등 민주화운동을 주도했던 경험을 공유한 특징을 갖고 있다.

천호선 국민참여수석실 기획비서관은 노 당선자가 13대 국회의원 시절 보좌관을 지낸 경력을 가졌고, 윤태영 내정자와 함께 386세대를 이끄는 선배그룹으로 노 당선자의 인터넷 새 정치를 주도해 왔다.

서갑원 의전비서관 역시 1992년 노 당선자의 비서관으로 일하기 시작했던 측근 인맥으로 분류되며, 양길승 제1부속실장 내정자도 노 후보 의전팀장을 지낸 바 있는 ‘노무현사단’이다.

비서관 가운데 가장 나이가 많은 최도술 총무비서관(56)은 노 당선자의 부산상고 1년 후배로 노무현 변호사 사무실의 사무장, 노무현 지구당위원장의 사무국장을 줄곧 맡아와 영원한 사무국장으로 불린다.

또 문재인 민정수석 내정에서부터 감지돼온 부산인맥 중용 맥락에서 안봉모 민주당 전 부산선대위 대변인이 국정기록비서관으로, 박재호 민주당 전 부산선대위 부본부장이 정무2비서관으로 각각 선임됐다.

박주현 국민참여수석과 송경희 대변인 발탁으로 시작된 여성인사 중용 기류가 이어진 것도 특징이다.

황덕남 변호사가 법무비서관에 선임됐고, 이어 김현미 당선자 부대변인이 국내언론1비서관, 최은순 변호사가 국민제안비서관에 각각 발탁된 것이다.
외신담당 대변인에 내정된 이지현 SBS 기자까지 포함할 경우 모두 6명이 청와대 주요 포스트에 포진한 셈이어서 1998년 국민의 정부 출범 초기에 4명이었던 데 비해 우먼파워가 한층 세졌다.

이처럼 당선자의 측근들이 권력 핵심부에 포진함에 따라 이들이 청와대내에서 이너서클화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