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포럼 위상 높아졌지만, 갈 길 멀다
제주포럼 위상 높아졌지만, 갈 길 멀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제주포럼 제11회 행사가 사흘간의 일정을 마무리하고 지난 27일 막을 내렸다. ‘아시아의 새로운 질서와 협력적 리더십’을 주제로 내건 이번 포럼은 일단 외형상으론 국제 포럼다운 면모를 갖췄다는 평가가 나온다. 총 75개국에서 연인원 7400여 명이 참여해 역대 최대를 기록했고, 내용적으로도 예전과 비교해 진일보한 성과를 수확했다고 본다.

따라서 이번 포럼은 전체적으로 제주가 아시아의 평화와 번영을 논의하는 담론의 장으로서, 그 이미지를 높여가는 기회가 됐다. 개회사에서 원희룡 지사가 “제주가 공존과 협력의 미래로 가는 평화의 실크로드를 만들고 이어나가고자 한다”고 강조한 것은 그런 맥락에서 주목할 사안이다.

특히 이번 제주포럼에서 뜻깊은 건 평화와 번영이라는 화두 외에도 제주의 미래 현안들이 개진됐다는 점이다. 이를 테면 ‘탄소 없는 섬 2030’과 전기차, 생태환경 보전 등이 그것이다. 포럼은 기본적으로 그 주제와 관련해 국내ㆍ외 저명 인사들이 열띤 토론을 벌이고, 다양한 해법을 제시하는 자리다. 하지만 그것으론 부족하다. 제주를 알리는 무대가 돼야 하고, 더 나아가 하나의 산업으로서 지역경제에도 보탬을 주어야 진정 그 의미가 있다할 것이다.

또한 이번 포럼의 특이 요인은 반기문 국제연합(UN) 사무총장의 참석이다. 내년 12월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고개를 든 ‘반기문 대망론’과 맞물려 주목을 끈 것이다. 자칫 그의 정치적 행보가 집중 조명을 받으며 포럼의 논의 주제들이 뒤로 밀린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지만, 어쨌든 그의 참석으로 포럼 위상이 높아진 건 다행스럽다.

이렇듯 이번 포럼에 적지 않은 성과가 인정되지만, 전체적으로 과제와 한계가 더 많이 노출됐다. 일반인이나 도민 참여가 저조해 여전히 ‘그들만의 포럼’에 그치고 있다. 여기저기 예산 끌어모아 진행하는 관 주도 행사라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다.

무엇보다 절실한 과제는 대통령의 참석이다. 그래야 다보스나 보아오포럼 같이 세계적인 포럼으로 발돋움할 수 있을 것이다. 창설 이후 김대중 대통령(2001년), 노무현 대통령(2003ㆍ2007년)이 참석한 바 있지만, 박근혜 대통령이 한 번도 참석하지 않은 건 아쉬운 일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