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물류 퇴비 자원화 "실패한 사업"
음식물류 퇴비 자원화 "실패한 사업"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안창남 의원, 퇴비 작물에 뿌렸다고 고사 등 문제 발생
▲ 제주시 봉개동에 있는 음식물류 자원화시설에서 음식물쓰레기를 퇴비로 만들기 위해 용기에 담고 있다.


제주시가 음식물쓰레기로 퇴비를 생산하고 있지만 자원화 사업에 실패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27일 시를 상대로 한 행정사무감사에서 안창남 의원(더불어민주당·제주시 삼양·봉개·아라동)은 “일부 농민들이 음식물류로 만든 퇴비를 뿌렸는데 염분과 이물질이 섞여 있어 작물이 죽어버리고 있다”며 “퇴비 자원화는 실패한 만큼 음식물쓰레기를 완전 소각해 처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시는 2001년 120억원을 들여 봉개매립장 인근에 음식물류 자원화시설을 준공하고, 비료생산업으로 등록했다.

이곳에서는 1일 110t의 음식물쓰레기를 선별·파쇄·탈수·건조·후숙을 거쳐 퇴비로 생산하고 있다. 그런데 기계 노후화로 악취가 진동하고, 퇴비의 질이 떨어지면서 농민들이 외면하고 있다.

이로 인해 시는 지난해 5만4375t의 음식물쓰레기로 8690t의 퇴비를 생산했으나 처리 및 판매에 어려움을 겪자 8590t(99%)을 농가에 무상 공급했다.

올 들어서도 7214t의 퇴비를 생산했으나 7177t(99%)을 무상 제공했다.

더구나 농민들이 음식물 퇴비를 선호하지 않으면서 창고에 야적해 놓았다가 농번기마다 무상 공급하고 있다.

고경실 제주시장은 “읍·면에서는 음식물쓰레기를 종량제봉투에 담아 배출해 소각 처리하고 있지만 동지역에서 배출된 음식물로 퇴비를 만들고 있다”며 “악취 문제와 퇴비 잔여량을 해결하기 위해 완전 소각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봉개 음식물류 자원화시설은 2021년까지만 사용하기로 하면서 제주도는 1일 390t의 음식물을 처리할 수 있는 광역 음식물자원화센터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그런데 환경부는 음식물을 퇴비로 자원화하거나 바이오가스를 뽑아 전기를 생산해야만 국비 900억원을 지원하기로 하면서 제주시의 완전 소각 방식은 난관에 봉착했다.

도는 국비 확보를 위해 음식물을 소각 처리가 아닌 바이오가스를 생산해 신재생에너지를 보급하는 자원화센터 조성을 추진하고 있다. 입지는 서귀포시 색달매립장 인근을 선정할 예정이다.

이에 대해 제주시 관계자는 “다른 지방에 있는 음식물자원화센터 선진지 5곳을 방문한 결과, 설계 기준에 비해 바이오가스 생산량은 50%에 머물고 전기 생산량도 목표치에 밑돌면서 시공업체와 지자체간 법적 소송이 벌어지고 있다”며 “음식물도 완전 소각 처리될 수 있도록 중앙 절충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