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수처리구역 확대 하루바삐 절실하다
하수처리구역 확대 하루바삐 절실하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최근 제주지역 하수처리 문제는 발등의 불이나 다름없다. 인구 증가 및 광풍에 가까운 개발 사업의 열기로 나타난 현상이다. 주변을 둘러보면 어딜가나 건축행위가 우후죽순 식으로 이뤄지고 있다. 골재와 시멘트가 품귀현상을 빚을 정도라고 하니 이런 난리가 또 있었을까 싶다. 그 속에서 생활하수가 엄청나게 쏟아져 나올 건 당연하다.

사실 하수처리시설 확충 문제는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그럼에도 하수처리구역이 제주 전역의 10%에 불과한 건 큰 문제가 아닐 수 없다. 특히 건축 때 공공하수도 사용을 의무화한 제주시 동지역도 하수처리구역이 22.2%에 머문다. 그외 제주시 읍·면지역은 6.0%, 서귀포시 동지역과 읍·면은 각각 14.8%와 8.5% 수준이다. 도시 팽창의 속도에 비해 하수를 정상 처리하는 하수처리구역은 너무 비좁은 실정이다.

하수처리구역이라 함은 생활하수를 공공하수시설에 연결해 처리하는 지역을 말한다. 마땅히 정부의 승인을 받아 지정된다. 곧 하수처리시설 설치를 위한 국비를 지원 받을 수 있다는 걸 의미한다. 하수처리 대란이 우려되는 제주의 현실을 감안할 때 하수처리장 증설은 중차대한 과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선 하수처리구역 확대 지정이 필수요소인 것이다.

이런 절실한 상황에도 환경부는 경제성 등을 이유로 받아들이지 않고 있다고 한다. 기실 제주는 이미 생활하수에 무방비로 노출된 상황이다. 제주하수처리장의 경우 가동된 지 20년을 넘기면서 용량 한계로 기준치를 초과한 하수가 번번이 방류되고 있다. 수질기준 초과 일수만 보더라도 2015년 79일, 지난해는 191일에 달했다. 그만큼 바다 생태계에 악영향을 끼친다는 걸 의미한다. 보통 심각한 문제가 아니다. 하수처리구역 확충은 시민들의 재산권 보호 차원에서도 절실하다. 난개발 방지를 위해 건축행위 때 공공하수도 연결을 의무화하는 추세인 탓이다. 인프라 확충 없이 행위제한만 강화한다면 민원이 야기될 건 불 보듯 뻔한 일이다.

뭐니 해도 급선무는 하수처리장 용량 증설과 하수처리구역 확대다. 다행히 제주도가 시설 개선과 함께 읍·면 자연마을과 개발 예정지역 중심으로 추가 지정을 서둘고 있다니 지켜볼 일이다. 제주의 청정성을 유지하는 것만이 미래세대의 삶을 담보한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