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리내공원, 쓰레기 매립 방식에 경종
미리내공원, 쓰레기 매립 방식에 경종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제주시 노형동 미리내공원(7만5452㎡)은 한때 악취가 진동하는 쓰레기매립장이었다. 1979년 비위생 매립지로 선정돼 1980년부터 1992년까지 12년 동안 운영돼 왔다. 이 기간 차수시설 없이 비위생 단순 매립 방식으로 145만㎥의 쓰레기가 묻혔다. 25m의 언덕으로 지형이 바뀐 이유다. 매립 전까지 공원은 지대가 낮은 촐왓이었다.

이어 2001년부터 3년간 66억원이 투입돼 매립지 정비 사업이 진행됐다. 그때 매립이 종료된 쓰레기층 위에 차단층(45㎝), 배수층(30㎝), 식생대층(60㎝)이 설치되는 등 모두 1.35m가 복토됐다. 침출수와 유해가스로 인한 환경오염을 막기 위함이었다. 이후 인조잔디 축구장, 농구장, 배드민턴장, 게이트볼장, 놀이시설 등을 갖춘 생활체육공원이 조성됐다.

그로부터 25년이 지났다. 과연 미리내공원 땅 속 상황은 어떠할까. 그 궁금증을 풀기 위해 제주시가 최근 땅을 파봤다. 그 결과 지력(地力)이 크게 떨어진 ‘쓸모 없는 땅’으로 전락했다. 비닐 및 플라스틱 등 썩지 않은 쓰레기 더미가 무더기로 나왔기 때문이다. 땅속의 흙 또한 검게 변해 있었다. 그야말로 ‘죽음의 땅’이 돼 버린 셈이다.

특히 종이와 목재 등 불에 탈 수 있는 쓰레기는 화학작용을 거쳐 유해한 유기물이 생성돼 질소와 탄소 배출량이 기준치를 초과했다. 거기에다 유해가스가 배출되면서 지반이 미세하게 침하되고 있다고 한다. 축구장 관중석과 조명탑, 공중화장실 등을 설치하지 못한 까닭이다. 놀라움을 넘어 충격적이다. 미리내공원이 시민들이 즐겨 찾는 체육공원이자 쉼터이기에 더욱 그렇다.

문제는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미리내처럼 사용이 끝난 쓰레기 매립장이 많아서다. 현재 도내엔 온 섬을 돌아가며 모두 29곳의 매립장이 조성됐다 그중 20곳이 만적돼 매립이 종료됐다. 대부분 소각설비에 다이옥신 저감기술이 없었던 1970~1980년대에 건립돼 단순 매립 방식으로 쓰레기를 파묻은 곳이다. 이곳들 역시 ‘썩은 땅’에서 자유롭지 못하다는 얘기다.

정확한 실태조사가 필요해 보인다. 미리내공원 사례는 단순 매립에 의존하는 쓰레기 처리 방식에 경종을 울린다. 철저한 위생 매립, 쓰레기 소각 확대 등 쓰레기 정책의 패러다임 변화가 요구되는 대목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