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영배(戒盈杯)
계영배(戒盈杯)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조선시대 거상 임상옥의 일대기를 그린 드라마 ‘상도’에 계영배가 등장한다.

‘넘침을 경계하는 잔’이라는 뜻으로 술을 7할이 넘게 채우면 모두 밑으로 흘러내려 버리고 7할까지만 채우면 온전하게 남도록 하는 신비한 잔이다.

사람들의 끊임없는 과욕(過慾)을 경계해 욕심이 지나치면 모든 것을 잃을 수 있음을 경고하고 있다.

계영배는 고대 중국에서 천자(天子)에게 금욕(禁慾)의 가르침을 주기 위해 하늘에 정성을 드리며 비밀리에 만들어졌던 의기(儀器)에서 유래됐다고도 한다.

공자가 중국 춘추시대 5인의 패자(覇者) 중 한 사람인 제(齊)나라 군주 환공(桓公)의 사당을 찾은 적이 있었는데 거기서 환공이 생전에 자신의 과욕을 억제하기 위해 늘 곁에 두고 사용하던 술잔인 의기를 보았다고 한다.

이 의기는 밑에 구멍이 뚫려 있어 차나 술을 적당하게 따르면 그대로 남아 있지만 8할을 넘어서면 모두 밑으로 새어 버리게 한다.

이를 본받아 공자도 이후 이 의기를 곁에 두고 자신의 지나침과 과욕을 경계했다 하는데 ‘공자의 공자됨’이 바로 이 의기인 계영배에서 비롯됐다고도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조선시대에 우명옥이라는 도공이 계영배를 만들었다는 설이 있다.

우명옥은 왕실의 진상품을 만들던 경기도 광주분원에 들어가 열심히 노력한 끝에 스승도 이루지 못한 설백자기(雪白磁器)를 만들어 왕으로부터 후한 상금을 받았다.

이에 거만해진 우명옥은 방탕한 생활에 빠지게 되고 사기 그릇을 만들어 모은 재물을 모두 탕진하기에 이른다.

뒤늦게 잘못을 깨달은 우명옥은 스승을 찾아가 백배 사죄하고 밤낮을 가리지 않고 하나의 작품을 만드는 데 온 힘을 기울인다.

마침내 그는 스승 앞에 조그마한 잔을 내놓게 되는데 그게 바로 계영배였다.

술로 자기자신을 망쳤으니 다시는 그러지 않겠다고 다짐하는 의미에서 만들었다 한다.

이 술잔은 이후 의주에 사는 임씨라는 사람이 소유하게 됐는데 그가 바로 거상 임상옥이다.

임상옥은 계영배를 보면서 끝없이 솟구치는 과욕을 다스리면서 큰 재물을 쌓았고 나중에 그것들을 모두 백성들을 위해 내놓고 가객으로 여생을 보냈다 한다.

한탕주의가 만연하고 곳곳에서 과욕이 넘쳐나는가 하면 전통적 가치관이 파괴되고 상실되어 가는 게 요즘 세상이다.

세상이 그러하다 하더라도 저마다 ‘마음의 계영배’를 가져보는 여유도 필요할 듯 싶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