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확산 차단 위해 민·관 힘 모아야
AI 확산 차단 위해 민·관 힘 모아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조류인플루엔자(AI) 신고 닷새 만에 제주에서 14만 마리가 넘는 가금류가 살처분됐다. 이는 도내 전체 사육두수 183만 마리의 7.7% 수준이다. 이 중엔 안타깝게도 제주축산진흥원이 보존하던 제주재래닭 572마리도 포함됐다. 앞으로 얼마나 추가될지 예단할 수 없는 상황이다. AI 청정지대로 상징되던 제주에 웬 난리인지 싶다.

근래 확산되는 AI는 주로 소규모 농가에서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정부는 그에 따라 해당 농가를 조사한 뒤 수매도태를 추진하고 있다고 한다. 전국의 100마리 미만 사육농가로부터 가금류를 사들여 처리한다는 거다. AI 조기 차단을 위한 선제적 조치를 받아들여진다. 사실상 이번 주가 중대 고비라고 판단하는 것이다.

이번 AI는 이례적으로 초여름에 발생했다는 점에서 파장이 만만치 않다. AI는 통상 철새 이동시기인 추운 겨울철이나 초봄에 집중됐다. 고온·고습한 환경을 견디지 못해 사멸하는 게 일반적이다. 요번엔 더워지는 초여름에 발생해 계절적 특성도 사라진 것이다. 새로운 변종이 나와 AI가 연중 상시화하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사실 AI 재발 대책은 그동안 꾸준히 지적돼 온 사안이다. 사육환경 개선과 백신 개발, 전문인력 양성 등이 제시됐다. 국내 가금류 99%가 공장식 축사에서 사육되고 있다는 게 그 배경이다. 더욱이 일각에선 AI의 국내 토착화 가능성까지 거론되는 상황이다. AI의 상시발생에 대비해 새로운 방역대책도 염두해 둬야 한다는 얘기다.

그런 면에서 이번 AI 사태는 새 정부의 위기대응 첫 시험대다. 자칫 방역망이 뚫려 다시 AI가 창궐한다면 겨울철 재앙보다 더 심각할 수도 있어서다. 그 못지않게 중요한 건 주민들의 협력 여부다. 금번 AI 악몽은 조기 차단에 실패한 당국의 책임이 크지만 농가들의 모럴 해저드도 한몫해서다. 규정만 지켰더라도 하는 아쉬움이 크다.

안쓰러운 건 AI 여파로 삼계탕 등 관련 음식점 역시 타격이 심하다는 점이다. 여름 대목을 앞둔 시기에 직격탄을 맞은 것이다. 하루빨리 이번 사태가 진정돼 관련 종사자들이 근심을 덜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그러려면 철저한 방역과 의심사례 신고 등 민·관이 힘을 모으는 게 최선이다. 급한 불을 끄고 나면 방역체계의 재점검도 꼭 이뤄져야 한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