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란 부른 메르스 의심환자 대응 체계
논란 부른 메르스 의심환자 대응 체계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2015년 5월 발생한 메르스(MERSㆍ중동호흡기증후군) 사태는 온 국민을 삽시간에 공포로 몰아넣었다. 그해 5월 20일 바레인에서 입국한 60대 한국인이 확진 판정을 받으면서 시작된 메르스 사태는 우리의 일상생활을 마비시키며 두 달간 지속됐다. 그로 인해 186명의 감염자 중 무려 38명이 소중한 목숨을 잃었다.

병을 고치려 가는 병원 응급실이 발병 숙주 역할을 하는 기막힌 현실도 보게 됐다. 당시 메르스 사태는 우리에게 값진 교훈을 여럿 남겼다. 그중 초동 대처 부실이 얼마나 많은 희생을 낳았는지 똑똑히 지켜봤다. 그러면서 메르스와 같이 빠른 속도 확산되는 감염병의 경우 신속한 초기 대응의 중요성을 뼈저리게 느끼게 됐다.

과연 그렇다면 제주는 메르스에 대한 초기 대응 체계를 제대로 갖추고 있는지 궁금하다. 한데 이를 확인해 볼 수 있는 일이 실제 일어났다. 결론부터 얘기하자면 초기 대응체계가 다소 미흡하다는 지적이다. 그렇게 된 이유는 이렇다. 지난 11일 오후 1시 제주시 모 종합병원 응급실에 고열과 근육통 등 메르스 의심증세를 보인 20대 여성이 입원했다.

의료진은 오후 4시 돼서야 이 여성이 지난 5월 하순 열흘 일정으로 중동지역을 방문했음을 알았다. 이어 오후 5시께 메르스 의심환자가 입원한 사실을 보건당국에 신고했다. 그 과정서 의료진은 응급실을 폐쇄하고 환자들을 격리해야 할지 결정을 내리지 못했다. 결국 해당 병원은 이날 환자와 보호자를 받는 등 응급실을 정상 운영했다.

이와 관련해 보건당국과 구급차가 신고가 접수된 지 2시간 만에 현장을 찾았고, 이 여성은 오후 7시40분 넘어서야 메르스 국가지정 병원인 제주대병원 음압병실에 입원했다. 격리 치료가 안 돼 사실상 7시간 가까이 방치된 셈이다. 이 여성이 음성판정을 받은 게 다행이지 만약 양성 판정이 나왔다면 어떤 상황이 벌어졌을까. 생각만 해도 끔찍하고 아찔하다.

정부의 지침대로 대응했다는 게 보건당국의 해명이지만 영 개운치 않다. 의심환자 발생 시 즉시 신고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 관리 시스템 구축이 아쉬운 대목이다. 이참에 사소한 것까지 챙기는 촘촘한 메르스 방역체계를 보건당국이 재점검했으면 한다. 초기의 안이하고 느슨한 대응은 늘 큰 화를 부른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