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제점 수준 교통문화, 이제는 바꾸자
낙제점 수준 교통문화, 이제는 바꾸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제주가 교통안전의 사각지대로 인식된 건 어제 오늘이 아니다. 그럼에도 제주도가 수립한 제1·2차 교통안전기본계획 추진 성과를 보면 실로 안타깝기 짝이 없다. 대부분의 지표에서 낙제점을 벗어나지 못했기 때문이다. 어찌된 영문인지 제주의 가치와 위상이 나아지는 것과는 반대로 교통 관련 불명예는 여전히 개선될 기미가 없다.

제주도는 12일 5년 단위 ‘제3차 교통안전기본계획(2017~2021)’을 마련해 고시했다. 계획연도 내 지표별 사망자수를 절반 가까이 감축한다는 목표다. 하지만 앞서 추진한 1·2차 기본계획의 결과를 보면 실현 가능성에 의문이 든다. 대부분의 지표에서 사망자가 늘어난 탓이다. 되레 ‘교통사고 특별도’라는 오명을 뒤집어 쓸 판이다.

교통사고 사망자만 하더라도 2010년 71명에서 2015년 93명, 2016년 80명으로 더 늘었다. 당초 목표인 2015년 34명, 2016년 30명을 훨씬 웃돈다. 보행자 교통사고 사망자도 2010년 31명에서 2015년 15명, 2016년 13명으로 줄인다고 했지만 실제 사망자는 2015년 40명, 2016년 39명으로 오히려 원년보다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노인 사망자수를 비롯해 자동차 1만대당 사망자수, 자전거 사망자수, 사업용자동차 사망자수 등 대부분의 지표가 목표에 한참이나 미치지 못했다. 종합평가에서도 자동차수 증가에 따른 교통사고 발생 가능성, 보행자 안전관리, 차량 속도관리, 고령자 안전관리, 사업용자동차 안전관리 등에서 사고예방 노력이 턱없이 부족했다.

이 같은 교통안전 낙제점은 예나 지금이나 변하지 않는 제주의 부끄러운 민낯이다. 이런 실정은 다 이유가 있다. 관광객들이 운전하는 렌터카에 의한 사고 요인도 있다. 그보다는 운전자는 보행자가 주의할 것이라 여기고, 보행자는 운전자가 알아서 피할 것이라는 잘못된 교통민도(民度)에 기인한다. 모두가 안전의식이 부족한 탓이다.

사고가 난 뒤 대책을 수립하는 건 엄청난 사회적 손실을 방치하는 것과 다름없다. 그런 면에서 제주도정이 교통사고 위험구간 개선, 무단횡단 방지시설 확대 등을 역점 추진키로 한 건 다행스런 일이다. 굳이 평가가 없더라도 우리 사회의 안전은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중요한 가치다. 안전한 제주 실현을 위한 투자를 지속하는 게 해법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