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 떠나는 문화예술거리, 명맥 끊길라
작가 떠나는 문화예술거리, 명맥 끊길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서울 인사동과 광주 궁동 거리, 서귀포 이중섭 거리…. 공통점은 문화와 예술이 어우러져 사람들이 찾고, 머물고 싶은 거리라는 의미다. 제주시 삼도2동 문화예술거리도 그런 점을 지향한다. 허나 근래 이곳은 존폐 위기의 기로에 섰다고 한다. 임대료가 올라 임차인이 밀려나는 ‘젠트리피케이션’ 탓이다. 소위 ‘뜨는 동네’의 역설이다.

문화예술거리는 제주시가 최근 5년간 33억원을 들여 조성했다. 옛 제주대병원 일대의 노는 점포를 임대해 예술인의 입주와 창작 활동을 지원해온 거다. 여기에 2020년까지 37억여 원이 더 투입된다. 이를 통해 문화예술의 거점을 확충하고 침체된 상권에 활기를 불어넣는다는 복안이다. 사실상 원도심 활성화의 초기 사업이다.

문제는 이 일대에 행정의 투자가 집중되면서 몇 년 새 부동산 가치가 급속히 상승했다는 점이다. 실거래 가격은 물론 임대료도 갑절 올랐다. 땅값 상승 여파에 건물주의 기대심리까지 가세한 모양새다. 이를 감당하기 힘든 문화예술인들은 새 둥지를 뒤로하고 하나 둘 떠나고 있다. 이 사업의 지속성을 담보하기 어려울 정도라고 한다.

더 심각한 건 당초 목표였던 원도심 활성화 사업에도 악영향이 미칠 우려가 있다는 거다. 크게 오른 임대료 탓에 빈 점포를 빌리는 자체도 위축되고 있다. 문화예술거리 사업이 되레 문예활동을 저해하는 형국이다. 지역 공동화로 노는 건물이 많았는데 지금은 빈집을 못 구해 걱정하는 아이러니한 일이 벌어지고 있는 것이다.

문화예술거리는 2009년 옛 제주대병원 이전 후 상권 침체를 걱정한 지역주민들의 자구노력에서 비롯됐다. 빈 점포에 문예인들의 입주를 도와 창작·전시공간으로 활용한다는 취지다. 작금에 와서 임대료 상승으로 세입자가 쫓겨나는 상황이 문제다.

문화예술거리의 실태가 드러난 이상 언제까지 두고 볼 일은 아니다. 무엇보다 건물주와 세입자, 지역이 서로 ‘윈윈’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 이참에 제주시와 건물주, 세입자가 상생협약을 맺어 임대료를 조정하는 건 어떨까 싶다. 실제 도심 재개발을 하는 선진국에선 이 방법으로 임대료 상한선을 정하고 있다. 문화예술거리의 미래를 담보하기 위해선 행·재정적 지원에 못지않게 지역주민들의 협조와 동참이 절실하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