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견되는 물 부족 우려, 절수정책 서둘라
예견되는 물 부족 우려, 절수정책 서둘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먹는 물 관리에 비상이 걸렸다. 제주는 물이 풍족한 곳으로 알려졌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아 보인다. 수돗물 수요가 한계치를 넘보는 탓이다. 올여름 수돗물 하루 사용량은 44만t에 달한다. 이는 제주지역 상수도 시설용량 48만t의 92%를 넘는 양이다. 적정 가동률로 보는 70% 선을 22%나 초과하고 있어 예사로 볼 일이 아니다.

이 같은 사실은 제주참여환경연대가 최근 도내 상수도 사용량 및 절수설비에 대한 모니터링 결과다. 이를 보면 정수장 가동률도 100%에 가까워 적정가동률 75%를 훨씬 넘어섰다. 수돗물의 안정적 공급에 차질이 우려되는 대목이다. 까딱하면 생활용수가 끊길 수가 있는 것이다. 심지어 물 부족 현상으로 건축허가가 반려될 정도다.

이런 상황에도 제주는 수도법에 의한 절수설비 관리가 너무 허술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목욕탕과 체육시설 등 절수시설 의무사업장에 대한 점검 실적이 아예 없었다. 게다가 물 절약에 모범이어야 할 공공기관들이 절수기준을 초과해 물을 낭비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통상 수도꼭지의 1분당 절수 수량이 5ℓ인데 비해 도교육청은 6ℓ, 도의회 9.5ℓ, 제주도청 11ℓ로 측정됐다. 수도꼭지를 틀 때 물이 넘치도록 나온다는 얘기다.

돌이켜 보면 제주는 섬이라는 특성상 물이 귀한 곳이다. 유일한 수자원인 지하수는 무한정으로 펑펑 퍼내 쓸 수 있는 게 아니다. 유사시 대안이 별로 없다는 게 문제다. 우리는 그런 사태를 2013년 여름에 물 부족 사태를 처절히 경험했다. 올해는 지속된 가뭄에 지하수위가 10년 만에 최저치를 나타낸 것도 결코 보통 일이 아니다.

이로 볼 때 물 부족의 위기는 제주라고 해서 예외가 될 수 없다. 수자원의 확보에서부터 적정수요 관리에까지 종합적인 보완책을 서둘러야 한다. 식수용 저수지와 빗물 저장시설 등 수원지를 더 개발하는 양적 확보가 그 출발점이다.

엊그제 참여환경연대의 회견 내용을 보면 그동안 제주도정이 절수정책에 소홀히 해온 게 사실이다. 그들이 주문한 물 관리 정책부서 신설과 조례 제정, 절수설비 보급 등을 정책자료로 참고할 일이다. 이제 물을 물 쓰듯 하는 시대는 지났다. 물 절약이 도민들의 생활 속에서 실현될 수 있도록 캠페인을 강화하는 것도 중요하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