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의 기도
가을의 기도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김길웅. 칼럼니스트

가을걷이로 넉넉한 계절, 풍요완 달리 외로움에 정신의 곳간이 텅 빈 가을. 고독과 허무와 우수의 계절인 가을을 어떻게 맞이해야 하나. 가을을 소재로 한 두 편의 시와 만나 보면 어떨는지.


‘가을에는/ 기도하게 하소서

낙엽이 지는 때를/ 기다려 내게 주신

겸허한 모국어로/ 나를 채우게 하소서//

가을에는/ 사랑하게 하소서

오직 한 사람을/ 택하게 하소서

가장 아름다운 열매를/ 위하여 이 비옥한

시간을 가꾸게 하소서’(김현승의 〈가을의 기도〉 부분)


친친 감겨 오는 기도문 같은 시어로 헛헛한 심신이 채워지기를 염원한다. 한 켜 얹어 절대자에게 다가가려는 간절한 소망을 담아냈다.



어디쯤에서, 누구일까. 청량한 가을 하늘 아래 어느 들녘 사락거리는 이운 풀밭에 앉아 그가 기도하는가. 바람 소리로 오는 화자의 음성이 뚝뚝 귓전으로 진다.


‘주여, 때가 왔습니다. 여름은 참으로 길었습니다./ 해시계 위에 당신의 그림자를 얹으십시오./ 들에다 많은 바람을 놓으십시오.// 마지막 과실을 익게 하시고./ 이틀만 남국의 햇볕을 주시어/ 그들을 완성시켜, 마지막 맛이/ 짙은 포도주에 스미게 하십시오.’ (라이너 릴케의 〈가을날〉 부분)


쓸쓸하고 을씨년스럽지만 달착지근 감미롭다. 신의 섭리와 실존 깊숙이 자리 잡은 근원적 고독에 대한 성찰을 기도조로 노래한 시다.

두 시를 포개 놓으면 한여름 더위에 부대낀 영혼이 무서리에 함초롬히 깨어나려니 김현승 시인 자신이 ‘가을은 릴케의 시와 자신이 입 맞추는 시간’이라 했다. 가을이 오면 자신이 서양의 시인 릴케를 경모(敬慕)하는 까닭은 그 시가 풍겨내는 치열한 고뇌와 고독 그리고 비통 때문이라 털어놓았다.

릴케와 김현승, 두 시인의 다른 이 두 편의 시가 동서(東西)의 공간과 발표된 반세기라는 시간의 간극을 훌쩍 뛰어넘어 시적 정서 하나에 귀일하고 있어 놀랍다.

지난여름 연일 폭염이었지만, 어느덧 가을이 눈앞으로 오면서 유례없다던 더위도 제풀에 꺾였다. 매양 계절의 변화에 흠칫 놀라는 게 인간이다. 그만하니 물러나는 더위 앞에 투덜거리기만 해댔으니, 만물의 영장이랍시고 체면 구겼지 않은가.

이제 가을, 하지만 가을인가 하다 보면 삽시에 겨울이 주둔군처럼 우리 앞으로 내습해 올 터이다. 가을은 텅 빈 충만으로 온다. 풍성한 가을에 채우려 들지만 말고 꼭 있어야 할 만큼만 챙기고 버릴 수 있어야 하리.

릴케가 카독스라는 문학청년에게 보낸 편지 한 대목을 떠올린다. “친애하는 카독스 씨, 당신이 고독을 사랑하고 고독이 만들어 내는 고통을 당신이 아름답게 울리는 비탄으로 견디도록 하세요.” 가을이면 큰 울림으로 오는 진정 외로운 자의 음성이다.

기도와 사랑과 고독의 시를 가슴에 품으면 붉게 물든 단풍이며 나풀대며 지는 잎들이 슬프지 않다. 단풍은 한 생을 마감하려 치장으로 엄수하는 장엄한 의전이고, 낙엽은 깔끔하게 온 데로 돌아가려는 엄숙한 회귀 의식인 것을….

사랑을 완성하는 것은 기도다. 그것은 자연의 이법(理法)에 순응하려는 어쩔 수 없는 인간의 마지막 선택일지도 모른다. 종교를 떠나 기도할 일이다. 길고 음울한 겨울을 나기 위한 충전의 시간 위로 두 손 모아 기도할 일이다. 이 가을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