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에서의 책임윤리
정치에서의 책임윤리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강은샘. 청심국제고등학교 2학년 1반
정치와 윤리. 두 단어 사이의 거리는 멀어 보이지만 생각해보면 정치를 함에 있어서 윤리적인 요구가 발생하지 않는 것은 아니다. 그렇다면 정치라는 과정 속 윤리를 어떻게 생각하며 어떤 윤리적 태도를 취해야 할까.

막스 베버는 그의 저서인 ‘소명으로서의 정치’에서 정치의 책임윤리와 신념윤리에 대해 논했다. 정치인이 가져야 할 자질로 책임윤리와 신념윤리를 말했는데 책임윤리란 자신의 결정이 가져올 수 있는 결과를 예상하고 그에 책임을 지는 것을 의미한다. 신념윤리란 행위의 결과를 고려하지 않고 자신이 옳다고 생각하는 신념에 따르는 것을 말한다. 그는 책임윤리를 더 강조했다. 정치가는 자신의 행동에 따른 예측 가능한 결과들을 책임질 수 있어야 하고, 실현 가능한 것을 행위의 기준으로 삼을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나 또한 베버의 생각에 동의한다. 정치인들은 자신의 신념이라 주장하며 사익만을 위해 일을 할 수도 있으며 무작정 내뱉고 보는 식의 정책 혹은 법안들이 난립하여 사회가 혼란해질 수도 있다.

길의 입구에서는 그 길의 끝이 무엇인지 알 수 없다. 가다가 그 길이 옳은 길이 아니었다는 걸 깨닫는 순간이 오면 우리는 결정해야 한다. 옆으로 길을 만들어 갈지 다시 돌아가 다른 길을 택할지. 여기서 필요한 게 정치인의 결단 즉, 신념이며 그 결단은 다시 옳은 방향으로 되돌려 놓겠다는 책임감에 의해 발생되는 것이다.

우리는 정치라는 과정 속에 이러한 책임감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필요하다. 책임감이 밑바탕이 된 신념을 가지고 있는 정치인이 많아진다면 대한민국의 정치는 더욱 성장할 것이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