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폐 기로에 선 ‘스마트그리드 운용 센터’
존폐 기로에 선 ‘스마트그리드 운용 센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스마트그리드는 ‘똑똑한’을 의미하는 ‘스마트(Smart)’와 전력망이란 뜻의 ‘그리드(Grid)’가 합쳐진 단어다. 차세대 전력망, 지능형 전력망으로 불린다. 기존의 전력망에 정보통신기술(IT)을 접목해 전력 공급자와 소비자가 양방향으로 실시간 정보를 교환함으로써 에너지 절감과 이용의 극대화를 도모한다.

제주특별자치도가 ‘카본프리 아일랜드(탄소 없는 섬)’ 구현의 일환으로 오는 2030년까지 도 전역에 스마트그리드 도시를 건설하려는 이유다. 원희룡 도정의 역점 사업이기도 하다. 한데 스마트그리드 제주 전역화 사업 추진에 비상이 걸렸다. 전역화 사업의 핵심인 스마트그리드 상호 운용성 시험센터(이하 시험센터)가 존폐의 기로에 놓였기 때문이다.

옛 제주대병원 내에 설치된 시험센터는 국비와 지방비, 민자 등 모두 392억여 원이 투입됐다. 2013년 공사가 시작돼 지난 5월 마무리됐다. 시험센터는 전기차, 스마트가정, 신재생에너지 연계 등 제주 스마트그리드 실증단지에서 축적된 다양한 실증정보를 활용해 스마트그리드 관련 기기의 호환성 및 표준성을 점검할 수 있도록 시험장비와 설비를 개발ㆍ구축하게 된다.

그러면서 스마트그리드 보급과 확산 이전에 상호 운용성을 검증해 안정적인 스마트그리드 인프라 구축을 지원하게 된다. 시험센터를 국내외 인증기관인 국제 글로벌 스마트그리드 인증센터로 확대하는 게 제주도와 정부의 목표였다. 하지만 이러한 목표가 물거품이 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지난 5월 국가지원 사업이 종료되면서 시험센터 운영이 중단된 탓이다. 설상가상으로 향후 센터 운영 재원과 장비 운용, 인력 운용 등에 대한 재원을 확보하지 못해 폐쇄될 위기에 처했다. 거기에다 기업의 스마트그리드 기술 제품에 대한 상호운용성 시험인증 의무화 제도가 마련되지 않아 시험센터가 제대로 운영될지도 의문이다. 인프라는 있지만 이를 활용할 기업이 없어서다.

이로 인해 188억여 원을 들여 추진되는 스마트그리드 확산 사업도 차질이 우려된다. 이경용 도의원은 이와 관련해 “정부와 활성화 협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을 경우 막대한 예산이 모두 사장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자못 걱정스럽다. 정부의 지원을 이끌어낼 수 있는 특단의 대책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