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다움을 담아내는 작은 소망들
제주다움을 담아내는 작은 소망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고경실. 제주시장
새해 아침에 가슴 속 깊게 웅크렸던 설렘의 이야기들을 초감제, 본풀이, 뒤풀이까지 만들어내느라 열 달을 숨 가쁘게 내달려 왔다.

최근 다양한 문화예술 분야의 하드웨어들이 들어서면서 여기에 제주의 색을 입힐 수 있는 생각들을 모아 한해 살림살이를 준비해왔다. 초겨울에 접어들면서 그동안 준비했던 일들을 하나씩 풀어내 보고 있다.

지난 11월 초, 제주해변공연장에서는 5000여 인파가 인기 작가 설민석을 기다리고 있었다. 나는 인사말을 대신 「나뭇잎의 여정」이라는 나의 수필 중 몇 구절을 읽어 내려갔고, 그렇게 첫 번째 ‘독서문화대전’을 풀어냈다.

최근 90세에 이른 재일본작가인 시인이 돋보기를 이중삼중으로 들고 강연 원고를 읽다 청중들이 자신의 본풀이와 같은 문학적 자산과 자신의 삶에 역정을 담은 이야기를 읽어주도록 당부했다. 이 순간 우리는 제주인을 넘어 한국인들이 근대사를 얼마나 참혹하게 살아냈는지를 말하려는 노작가의 삶을 느끼기도 했다. 그러면서 전국문학인 포럼은 전국 최초로 문인협회, 작가회의, 제주시 문화원 대표들이 모여서 함께 문학을 이야기하고 삶을 짚어보는 시ㆍ공간을 압축해서 풀어냈다. 이 또한 처음이었다.

이제 또 다른 꿈의 초감제를 향해 한 걸음씩 나아가고 있다. 조선 중엽 제주 백성들이 다 굶어 죽을 지경에 이르자 ‘김만덕 큰손’으로 백성을 살려냈던 나눔의 실현, 그것은 지금도 우리 정신으로 남아있다.

요즘과 같은 시점에서 ‘조냥과 나눔’. 이 정신적 유산이야말로 우리가 가다듬어야 할 기상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버릴 수가 없다. 그래서 뮤지컬에 도전하고 있다. 우리 고유의 콘텐츠가 됐으면 하는 마음으로 한라산을 바라보고 있다. 그리고 제주말이 일상 문화가 되고, 도로에 피어 있는 꽃들에 우리다움이 담겨있기를 바라며 행정 과제들을 구현해보고 있다.

그리고 ‘청정과 공존’. 즉, 환경과 문화이자 자연과 인문의 공존’이라고도 할 수 있는 이야기들이 살아나 함께 춤을 추었으면 하는 마음이다.

2016년 세상을 달리한 「제3의 물결」의 저자 앨빈 토플러의 이야기가 내 머리 위에 살포시 내려앉는다. “변화란 단지 삶에서 필요한 것이 아니다. 삶, 그 자체이다.”

우리가 순간순간 변하고 있듯이 환경이 변하고 있다. 개인의 생각과 일의 방식을 혁신해야 한다는 이야기를 늘 들어왔다. 그러나 관찰해보면 이 모든 변화는 ‘내 인생, 사실 자체다’라는 지점에 생각이 머무른다. 물방울처럼 작은 일들이 펼쳐지고 결론지어지는 순간순간 결과에 대해 회향하려 한다. 그것이 문화로 성숙해지기 때문이다.

‘무엇 때문이지? 아니, 왜 이렇게 하지?’ ‘공항로 입구에 제주 돌담으로 화단을 만들고, 제주 찔레꽃을 심고 번화가에 제주어 문양을 담은 예쁜 간판을 내걸어 보자’.

이런 이야기가 나만의 소망일까 하면서 돌이켜본다. 깨끗한 제주공동체에 우리 향기가 담겨 있는 문화적 자산들을 담아보겠다는 작은 소망들을 구현해보려는 시도를 떠올려본다.

앞으로 가야 할 길은 멀다. 땀 흘리며 매달리고 있는 시민들의 노력과 공직자들의 헌신들이 하나의 하모니가 됐으면 한다. 이러한 기도문을, 손에 땀을 움켜쥐고 낭독해보는 나는 공감해주고 격려하는 한마디에 안도하고 있다.

노사연이 부른 노래 가사 중 우리는 늙어가는 것이 아니라 익어간다는 말이 있다. 이처럼 작은 열매가 붉게 익었으면 한다. 그리고 그 씨앗이 이 땅을 아름답고 향기롭게 물들이기를 소망한다. 그것이 이 일을 하는 이유이기 때문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