빗물ㆍ오수 섞여 유입되는 하수처리 현실
빗물ㆍ오수 섞여 유입되는 하수처리 현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제주시 도두동 소재 제주하수처리장은 1994년부터 가동됐다. 시설 용량은 하루 13만t으로 도내 하수의 60% 이상을 처리한다. 하지만 몇 년 전부터 그 능력을 상실해 시도 때도 없이 정화되지 않은 하수가 바다로 방류되기 일쑤다. 때론 유입되던 하수가 역류하면서 인근 하천과 도로에 흘러넘치는 사고도 발생한다. 이쯤 되면 하수대란이 따로 없다.

연간 1500만명의 관광객 내도, 거주 인구 증가, 각종 건축 행위 급증 등으로 하수량이 지속적으로 늘어난 탓이다. 거기엔 제주도상하수도본부의 분류식 하수관거정비사업에 대한 관리ㆍ감독 부실도 한 요인이 됐다는 지적이 나온다. 제주도감사위원회의 도내 임대형 민자사업(BTL)에 대한 특정감사 결과가 그렇다는 거다.

BTL은 민간 사업자가 지은 공공시설을 정부나 지자체가 일정 비용을 내고 임대해서 쓰는 투자 사업이다. 도상하수도본부가 추진했던 분류식 하수관로 정비 사업이 해당된다. 이 사업은 화장실 정화조의 오수와 세탁기 등지에서 나오는 세제 따위 생활하수를 우수(빗물)과 따로 분리해 하수도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2006년부터 2010년 사이 도내 2만6633가구를 상대로 분류식 하수관로 정비 사업이 시행됐다. 한데 사업 대상의 7%인 1878가구는 오수와 우수를 분류하지 않았다고 한다. 즉 주민들이 반대한다는 이유로 계획대로 정비되지 않은 게다. 그중 1300가구는 관로 하나만 매설해 오수와 우수가 한 데 섞이도록 했고, 나머지 578가구는 아예 공사를 하지 못했다.

사업 목적대로라면 오수는 하수처리장으로 보내고, 우수는 하천으로 방류해야 한다. 그래야 하수처리량을 줄일 수 있다. 허나 제대로 분류되지 않고 한꺼번에 하수처리장으로 흘러들어가 효율성을 떨어뜨렸다는 게다. 해당 지역은 제주하수처리장의 관할 구역인 삼도동, 일도동, 건입동 일대다. 그 과정서 도 상하수도본부는 관리ㆍ감독에 손을 놓고 있었다.

결국 도상하수도본부의 안일한 행정이 하수대란의 일부 원인을 제공한 셈이다. 물론 해당 지역은 오래된 집이 많은 곳이어서 사업 추진에 어려움이 많았을 것이다. 그렇다고 이대로 손을 놓을 수는 없는 일이다. 이유야 어쨌든 우ㆍ오수 분류공사가 조만간 이뤄져야 한다는 얘기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