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자숲길 단상(斷想)
비자숲길 단상(斷想)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정민수/수필가

그 많던 구름은 다 어디로 갔나. 가을 하늘 공활한데 높고 구름 없이….  어린 시절, 만국기가 펄럭이는 운동회 날 애국가를 부르며 우러러 보던 그 때의 그 하늘이다. 계절은 가을의 끝자락에 머물며 겨울로 들어서길 망설이는 듯, 쾌청한 날씨가 며칠째 계속되고 있다.


가을하면 떠오르는 이미지가 오색으로 물든 단풍과 소슬한 바람에 밀려 쌓인 낙엽만은 아니다. 늦은 가을걷이로 땀 흘리던 어머니와 이웃사촌들, 뒤뜰의 높은 가지 끝에서 붉게 익은 토종 감 몇 알. 소몰이 나가는 길가 양 옆으로 뻗어나간 억새꽃의 행렬…. 반세기 이전으로 뒤 물림하는 시간에의 향수가 아스라이 떠오르는 계절이다. 오늘은 비자림 그 짙푸른 힐링 숲에서 오붓한 시간여행을 즐겨보리라.

 
비자림에 처음 가 본 것은 초등학교 6학년 가을 소풍 때였다. 학교에서  육 킬로미터쯤은 되는 거리였지만 도보로 왕복했었다. 고향 마을 주변에는 숲다운 숲이 없었다. 4·3사건이 있었고 무분별한 벌목과 산불로 오름까지 민둥산이었다. 그래서였는지 숲에 대한 호기심도 발동했었다. 소풍 날 자동차를 이용한다는 것은 상상도 못하던 시대였으니 멀다고 불평이 나올 수가 없었다. 날씨가 좋기만 바랄 뿐이었을 것이다. 가는 길에는 잘 익은 보리수 열매가 있어서 입이 즐거웠고, 비자림에서는 비자 열매 줍기에 넋이 팔려서 시간 가는 줄을 몰랐다. 빈 도시락이 가득할 때까지 우리들의 보물찾기는 계속됐었다.


주차장과 매표소를 지나면서부터 비자향이 슬며시 콧속을 자극한다. 진입로 주변에 심어진 젊은 비자나무가 방산하는 피톤치드인 게지. 심호흡으로 양껏 빨아들여 본다. 해마다 봄, 가을 성묘 길에 이 옆을 스쳐 지나는 일은 있었지만 혼자 여유를 부리며 비자 향을 맡아본 일은 별로 없었다.


이곳도 관광객들에게 편의를 제공한다는 이유 때문인지 주변의 모습이 많이 바뀌었다. 지금도 그들이 작동하는 기계 소리는 멈추지 않고 있다. 그러나 비자림 숲의 나무들만은 아직도 고색창연의 운치를 잃지 않고 의연한 모습을 간직하려는 듯 입을 다물고 있다.


줄지어 숲길로 들어서는 탐방객들 틈에 섞여 숲 해설사의 설명에 가끔은 귀를 기울여 본다. 숲의 나무들에 대한 그들의 식견이 대단함이 엿보인다. 사람마다 얼굴이 다르고 목소리가 다르듯이 나무들도 어느 것 하나도 같은 게 없단다. 만지면 말 오줌 냄새가 난다는 말오줌때나무에 대한 실연설명에 박수를 보낸다. 비자나무는 자웅이주(雌雄異株)인데 금년에 열린 열매가 익어서 단단해지는 다음해 가을까지 달고 산다니 모성애의 극치가 아닌가.


오솔길 양 옆으로 가슴을 드러낸 곶자왈이 양치식물과 콩짜개덩굴을 이불처럼 덮고 누워 있다. 비자나무들 사이에 어쭙잖게 들어선 갈잎나무들만이 계절을 말하듯 붉게 물들고 있다. 구새 먹은 나무의 속살을 드려다 보며 왠지 눈시울이 뜨거워진다. 저렇게 아린 가슴으로 지나온 세월이  얼마였을까.
벌어진 가지 사이로 내려온 햇빛이 붉은 송이길 바닥 위에 둥근 반점들을 그려 놓고 있다. 밟으면 ‘사각사각’ 부서지는 소리라도 낼 것 같다. 또 한 무리의 탐방객들이 지나간다.


새천년 나무 주위에 쳐 놓은 철책 앞에 수십 명이 몰려 서 있다. 해설사의 설명이 길게 이어지고, 듣는 이들의 눈길은 팔백년 고목의 밑둥치에 모여 있다. 이 숲의 최고령자다운 위풍이 사방으로 길게 뻗은 가지에서도 당당하다.  세월의 무게를 여기서는 언급조차 불허한단다. 무병과 장수를 염원하지 않을 사람이 어디 있으랴. 옷매무새를 고치고 경배라도 해야 하지 않을까 싶다.


다리도 쉴 겸해서 자리를 잡고 앉았다. 해설사의 목소리가 멀어진다. 낙엽 밟는 소리도 사라졌다. 순간 고요와 정적이 새천년 나무의 그림자 속으로 몰려든다. 잠간의 정적을 허물며 또 다시 탐방객들의 다가오는 소리가 들린다.


연리목을 멀리서 바라보며 출구로 나왔다. 담장 밖의 길옆에 떨어진 비자 몇 알을 주워서 깨물어 본다. 쌉쌀하게 떫은맛이 입안을 가득 채운다. 어린 시절에 먹어보았던 바로 그 맛이다. 잘 마른 비자는 제사상에도 가끔 오르곤 했었다. 제사가 끝나면 구충제로 몇 알씩 나눠 먹으며 목이 막혀 캑캑거리던 그 얼굴들을 떠올려 본다. 지금은 비자 한 알도 주워 가지 못하게 공원 관리 규정으로 묶여 있다니 아쉽다.


출구의 끝자락에 서있는 돌하르방의 미소 위로 가을바람이 스친다. 바위 돌 틈에 뿌리내려 살아가는 비자나무의 생명력을 본받아 건강한 삶을 이어가라는 안내판의 문구를 되씹어 본다. 그렇지, 가을을 조락(凋落)의 계절이라고만 치부해 둘 수는 없지 않는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