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측된 봄가뭄 우려, 절수대책 서둘러야
예측된 봄가뭄 우려, 절수대책 서둘러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제주지역 연간 강수량이 태부족해 봄 가뭄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예측됐다. 물 부족을 알리는 빨간색 경고등이 들어온 것이다. 특히 앞으로 적정량의 비가 오지 않으면 지하수위가 내려갈 수도 있다는 진단까지 나왔다. 도민 생활용수인 지하수 이용을 제약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절수대책이 필요하다는 얘기다.

이는 제주연구원 박원배 선임연구위원이 ‘2018년 효율적 수자원 관리 방안’에 대한 연구 결과에서 나왔다. 이를 보면 2017년 제주지역 강수량은 773~1917㎜에 머물렀다. 1981년 이후 최근 30년간 평년 강수량의 40~71% 수준에 그친 것이다. 더욱이 이달 13일 기준 제주지역은 이미 가뭄지역으로 분류된 상태라고 한다.

이런 상황에서 기상청의 올 봄철 기후 전망도 낙관적이지 못하다. 강수량이 평년과 비슷하거나 적을 확률이 80%로 점쳐졌다. 강수량 부족 현상이 지속된다는 거다. 앞으로 500㎜ 이상 비가 내리지 않는 경우 지하수위 하강 등으로 해수침투 현상도 우려된다고 한다. 대부분의 생활용수를 지하수에 의존하는 제주로선 예삿일이 아니다.

이에 박 선임연구위원의 절수 제안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수도법상 의무화된 절수기 설치 확대와 정기 점검, 스프링클러 관수방법 개선, 지하수 관측 상황실 설치 등을 주문했다. 또 본격적인 가뭄이 대비해 공공 지하수 관정에 간이 소독시설 설치를 제의했다. 비상 시 곧바로 상수도로 전환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문제는 가뭄 해결을 위해 오래전에 수립된 제주도의 물 문제 대책이 더디다는 점이다. 가뭄이 올 때마다 임시방편적인 대책이 반복될 뿐이다. 대표적인 건 민·군 합동의 급수지원단이 편성돼 급수지원을 하는 게 고작이다. 더 늦기 전에 보다 적극적이고 실천적인 대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는 것도 이 같은 이유에서다.

‘제주광역도시계획’을 보면 오는 2020년부터 물 부족사태가 발생할 것으로 예측된 상태다. 제주의 물 부족 상황이 현실화되고 있는 것이다. 그런 면에서 물 문제 대책이 다른 사업에 밀려 진행될 상황이 아니다. 지표수와 용천수를 활용하는 양적 확보가 그 대안이라고 본다. 상수도 누수율 줄이기 등 절수시책을 강화하는 것도 중요하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