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돈장 악취관리지역, 강력히 시행해야
양돈장 악취관리지역, 강력히 시행해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원점으로 돌아가 제 편한대로 해보려는 획책인가. 양돈장 악취관리지역 지정을 둘러싼 황당한 일이 벌어지고 있다고 한다. 당초 29일자로 악취관리지역이 확정·고시될 예정이었으나 양돈단체들의 조직적 반발로 연기된 것이다. 축산분뇨 무단방류로 공분을 산 양돈업계가 숨을 죽이고 있다가 시간이 흐르자 태도를 바꾼 모양새다.

최근 제주도에 접수된 의견서 479건 중 2건을 뺀 477건은 악취관리지역을 반대하는 내용이다. 이 모두 양돈단체들의 조직적인 대응이라고 한다. 이틀이라는 짧은 기간에 무더기로 반대 의견을 낸 것이다. 심지어 대한한돈협회 소속 경기협의회, 강원협의회, 경북협의회, 전북협의회, 충북협의회, 충남협의회 등도 가세했다.

그들의 의견은 농가 스스로 악취 개선기간을 가질 수 있도록 고시를 유예해 달라는 내용이 주종을 이룬다. 그러면서 악취관리지역이 시행되면 양돈산업은 물론 금융, 사료, 유통 등 연관산업 전체가 위축될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했다. 심지어 이번 고시가 악의적 민원 등에 의한 것으로 진정성에 의구심이 든다며 역공을 펴는 것도 있다.

하지만 이런 양돈업계의 처신은 실로 자가당착이요 어불성설이라 아니할 수 없다. 악취관리지역이 지정되면 무엇보다 양돈 사양관리에 철저를 기하게 될 건 불명하다. 나아가 소비자 신뢰를 이끌어내 양돈산업의 성장을 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를 떠나 축산분뇨 숨골 방류사태와 관련해 제주양돈업계가 고개를 숙인 게 지난 9월의 일이다. 반성은커녕 조직적으로 저항에 나선 게 도민 입장에선 황당할 따름이다.

당시 양돈업계는 공식사과를 통해 제반규정을 더 엄격하게 하기 위한 조례 개정 등에 협조하는 등 자기혁신의 의지를 천명했다. 그래놓고 이 같은 집단 행동은 뭐란 말인가. 악화됐던 여론이 어떤지를 간보는 거라면 즉각 중단하고 각성할 일이다.

도민들은 수십년간 축산악취를 견뎌왔다. 그 악취는 어느 한두 곳의 문제가 아니다. 이제 와서 ‘자율’과 ‘계도’를 운운하는 건 도민사회의 모든 구성원을 농락하는 것과 다름없다. 도 당국은 악취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그 출발점인 악취관리지역 지정을 차질 없이 시행해야 한다. 어떤 저항에 부닥치더라도 당국의 분발을 당부한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