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뚝 떨어진 동백꽃 보며 제주의 아픔 기억해 주세요”
(1)“뚝 떨어진 동백꽃 보며 제주의 아픔 기억해 주세요”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동백꽃 ‘왜 4·3의 상징 됐나’
▲ 강요배 화백과 ‘동백꽃 지다’ 그림.

동백꽃이 4·3의 상징이 된 것은 1992년부터 시작됐다. 그해 강요배 화백이 그린 4·3기록화 ‘동백꽃 지다’는 제주뿐만 아니라 전국에서 큰 반향을 일으켰다.

 

각종 기관과 단체에서 발행한 4·3 관련 자료집마다 그의 그림이 인용됐고, 2008년 개관한 제주4·3평화기념관 전시물에도 이 그림이 내걸렸다.

 

동백은 제주사람들에게 처절함과 피어린 슬픔의 자화상으로 떠오른 것이다.

 

그런데 제주에서는 예로부터 동백꽃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었다. 꽃잎이 한 잎 두 잎 바람에 흩날리며 떨어지는 것이 아니라 온전한 상태에서 뚝 떨어지는 꽃송이에서 목이 잘리는 불길한 모습을 연상했던 것이다.

 

심지어 동백나무를 심으면 도둑이 든다는 속설까지 전해져 집 안에 잘 심지 않았다.

 

하지만 동백은 찬바람을 맞으며 빨간색의 꽃을 피워내 강렬한 이미지를 전해주고 있다. 꽃송이는 하루아침에 뚝 떨어지면서 장렬함을 상징하고 있다.

 

동백꽃은 4·3의 영혼들이 붉은 동백꽃처럼 차가운 땅으로 소리 없이 쓰러져갔다는 의미를 내포하면서 4·3의 상징으로 떠오르게 됐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