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렴, 사소한 공과 사 구분에서부터
청렴, 사소한 공과 사 구분에서부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고경섭, 서귀포시 도시과
먼저 ‘청렴’은 성품과 행실이 맑고 높으며, 탐욕이 없다는 사전적 의미를 갖고 있다. 공직자로서 가까이 해야할 기본적인 덕목이지만, 언론 보도를 통해 대가성 금품, 향응 수수 등 청렴 의무를 위반해 처벌 받는 공직자를 보면 안타깝기 그지없다.

청렴의 시작은 공적인 일과 사적인 일을 구분하는 사소한 일에서부터 시작했으면 좋겠다.

많은 사람들이 자주 사용하고, 자주 듣는 말이 있다. ‘공과 사는 구별해야지.’ 그 공과 사를 구별하는 선을 만드는 건 자신의 몫이다.

업무에 익숙해지고, 업무와 관련된 사람과도 익숙해지게 되면서 공과 사의 구분이 모호하게 되는데, 익숙해지면서 한국의 독특한 정서인 정(情)이 생기기 시작하기 때문이다. 정이 드는 것이 나쁘다기보다는 공과 사의 구분이 모호해질 수 있기 때문에 경계할 필요가 있다.

공과 사를 확실히 구분하면 불필요하게 상대방이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걱정하지 않고 자신의 역할에만 충실하면 되기 때문에 관계가 더욱 돈독해질 수 있다고 생각한다. 누구나 실수는 할 수 있지만, 그 실수를 바로잡고 바꾸는 건 쉽지 않다.

무엇이든 꾸준하게 실천하는 것이 힘들 듯, 청렴을 위한 작은 실천 역시 쉬운 일은 아닐 것이다. 하지만 조그마한 용기와 실천하겠다는 의지만 있으면 지금이라도 바꿀 수 있다. 그래서 나 자신부터 하루를 마치기 전에 업무를 하면서 공과 사의 모호하게 만들지는 않았는지 내 자신에게 물어보기를 다짐해본다.

모든 시작은 내 자신에서부터 시작되기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