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 70주기…영령과 유족 앞에서 약속해야
4·3 70주기…영령과 유족 앞에서 약속해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제주 4·3이 70주년을 맞는 엄숙한 아침이다. 오늘 제주시 봉개동 4·3평화공원에는 참배객들의 추모행렬이 줄을 잇는다. 도내 대학가에 설치된 희생자 분향소에도 향이 피어오른다. 서울 광화문광장을 비롯한 대구와 대전, 광주 등 전국 20곳 분향소에도 억울하게 희생된 넋을 위로하는 발길이 이어진다.

제주 4·3은 대한민국 현대사에서 한국전쟁 다음으로 인명 피해가 컸던 참극이다. 4·3진상보고서에 따르면 당시 제주도 인구의 10%인 3만여 명이 희생됐다. 군·경 토벌대와 무장대에 의해 목숨을 잃었다. 희생자 중에는 어린이·노인·여성들도 상당수 있었다.

죽은 자는 구천을 떠돌다 넋만 지쳤다. 산자는 기구한 삶을 살았다. ‘열일곱 번째 제주 4·3증언본풀이 마당’에 나온 이삼문씨는 4·3으로 가족을 모두 잃고 졸지에 고아가 됐다. 남의 집에서 머슴살이하다 그 집의 양자로 입적해 ‘박삼문’으로 살았다. 제주4·3공원을 찾았을 때 부친의 위패 옆에는 자신의 위패도 있었다. 죽은 목숨이었다. 4·3의 굴레에 갇힌 자들은 그렇게 세상을 살았다.

제주 4·3은 2000년 4·3특별법 제정, 2003년 진상보고서 채택, 고(故) 노무현 대통령 공식 사과, 2014년 국가기념일 지정 등으로 조금씩 앞으로 나아갔다. 그래도 ‘완전한 해결’이리는 종착점은 멀었다는 것이 보편적인 생각이다. 미완의 과제가 많기 때문이다. 희생자에 대한 보상, 행방불명인 유해 발굴, 4·3 정명(正名) 찾기 등이 그것이다.

이에 대한 해결 방안을 담은 것이 지난해 12월 국회에 제출한 ‘제주4ㆍ3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에 관한 특별법 개정안’이다. 하지만 지금까지 심의조차 이뤄지지 않고 있다. 오늘 추념식에 참석하는 여·야 대표들은 대오각성하고 영령과 유족, 도민들 앞에서 조속한 처리를 약속해야 한다.

‘제주4ㆍ3의 완전한 해결’은 현 정부의 100대 국정과제이기도 하다. 문재인 대통령도 그들의 한을 풀어줄 의지를 밝혀주길 바란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