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 하늘은 또 왔는데
4·3 하늘은 또 왔는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오태익, 시인·수필가·칼럼니스트

다른 해와 달리 4·3 기념탑이 일찍부터 세워졌다. 자그마치 70년 세월이 흘러 이제부터 주목받기 시작한 것이다. 4·3특별법 개정안이 과연 국회를 통과될지는 미지수이지만, 4·3 70주년을 맞이해 도민 사회에서 4·3특별법 개정 열망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국회에 제출된 4·3특별법 개정안 심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1948년부터 70년의 세월이 흐르지만, 그동안은 4·3의 국가추념일 제정도 외면당했다. 이제 4·3특별법 개정안의 국회 통과를 촉구하는 시점에 와 있다. 4·3이 곡해에 흘러서 바른 인식이 못 되고 좌편향으로 흐른 것이 국가추념일 제정도 외면당하는 아픔이 있었다.

한편 제70주년 제주 4·3추념식을 앞두고 지난 21일 원희룡 제주특별자치도지사와 고충홍 도의회의장, 이석문 교육감, 양윤경 4·3유족회장은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4·3특별법 개정을 촉구한 것은 장족의 발전이다.

그동안은 아픔의 세월이 가도 4·3의 하늘은 무심하게 흘렀고, 대통령이 위령제에 참석하는 것조차 외면당했다. 그리고 국내 여러 단체에서 제주 4·3사건을 연구한 책들이 쏟아졌으나 너무 좌편향적인 데다가 민중항쟁이라고 잘못 해석하는 경우도 많았다. ‘제주 사람들의 설움’과 같이 올바른 시각으로 역사를 되짚어준 서적이 손꼽을 정도다. 지금이라도 국가추념일 제정으로 나가고 바로 역사를 해석하려는 것은 천만다행이다.

5·18 광주사태는 매년 추념의 대상이 되고 있고, 희생에 대한 얼마간의 보상도 되고 있다. 그럼에도 4·3에 대해선 그동안 추념은커녕 언급도 없이 지났다. 제주시 봉개동에 4·3추념 공원이 마련된들 대통령이 참석하지 않으면 무슨 위로가 될까. 모 옹은 한 증언에서 하루에만 105명이 죽어서 너무나 억울하다고 했다.

제주 4·3사건은 관련 특별법에 따라 ‘1947년 3월, 1948년 4월에 발생한 소요사태 및 1954년 9월 21일까지 제주도에서 발생한 무력충돌과 진압과정에서 주민들이 희생당한 사건’으로 풀이된다.

4·3을 다시 살펴보면 좌익분자들이 남한 건국 5·10 선거를 반대하고 북한의 8·25선거를 지지함에서 비롯됐다. 2대 좌익수괴는 대한민국을 상대로 선전포고를 했다. 그가 국군을 공격해 21명이 전사하면서 4·3사건이 확대되었다.

이승만 정부는 48년 11월 17일 제주도에 계엄령을 선포하고 내란을 진압하였다. 아무 잘못이 없는데도 정부가 계엄령을 내려 양민을 학살했다. 남로당 공산주의자들이 대한민국의 건국을 반대하기 위해 4·3폭동을 일으킨 사실은 은폐하고, 경찰의 탄압에 저항해서 일어난 민중의거로 잘못 알려져 왔다. 이 부문 상당히 맞지 않는 경우다. 잘못 알고 있으면 해결의 길이 보이지 않는다. 4·3을 민중의거로 포장한 것은 잘못된 것이다. 따라서 제주학살과 4·3 봉기는 ‘제주4·3항쟁’으로 불러져야 한다.

참혹했던 비극의 역사인 4·3사건은 그동안 많이 와전되어 왔다. 단순한 제주도민의 민중봉기에서 비롯된 사건으로까지 잘못 알았다.

결론은 4·3사건은 제주도의 공산화는 물론 대한민국 정부를 전복시킬 목적으로 공산주의자들인 남로당원이 저지른 유사 이래 가장 참혹했던 사건이라는 점을 바로 알아야 한다.

4·3하늘은 무려 70주년으로 또 왔는데, 그냥 무심코 지나서는 안 될 것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