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수 관리허술 경고음, 예삿일 아니다
지하수 관리허술 경고음, 예삿일 아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강이나 담수가 없는 제주의 지하수 의존도는 거의 절대적이다. 먹는 물을 비롯한 생활용수와 농업용수 등 모든 물의 사용을 지하수에 의지하는 것이다. 달리 말하면 물 수요에 맞춰 그때마다 지하수 개발이 끊임없이 이뤄져 왔다는 얘기다. 그런 도민의 생명수인 지하수 관리가 허술하다는 건 보통 일이 아니다. 자칫 급수난을 부채질하는 원인이 될 수 있어서다.

제주도에 따르면 도내 지하수 관정은 모두 4818공에 이른다고 한다. 이들 관정의 1일 취수 허가량은 157만t으로 지속이용 가능량 176만t의 89%에 달했다. 특히 한림·대정 등 서부권의 취수 허가는 이미 기준선을 넘어섰다. 1일 적정 사용량 25만t에 비해 허가는 2배가 넘는 52만t이 나간 것이다. 지하수 허가가 무분별하게 이뤄진다는 비판이 제기되는 이유다.

이런 상황에서 지난해 보고된 도내 용천수 실태는 적신호나 다름없어 보인다. 용천수 1025곳 중 364곳(36%)이 이미 사라졌고 661곳만 남은 상태다. 그중 227곳(34%)은 수량이 고갈되는 등 훼손이 가속화되는 실정이라고 한다. 실제 제주시 도두 오래물과 외도 월대천, 서귀포시 산지물 등 대표적인 용천수들이 수량이 현저히 줄어 폐쇄 위기에 처한 상황이다.

더 큰 문제는 일상에서 중요한 수돗물 수요가 점점 늘고 있다는 점이다. 적정 가동률인 70% 선을 이미 20% 이상 초과한 상태서 인구 증가와 각종 개발로 물 수요가 팽창일로인 거다. 2025년엔 현재 공급능력보다 7만t이나 많은 1일 55만t에 이를 것이란 예측도 있다. 자칫 급수대란에 직면할 수도 있는 것이다.

지하수는 무한정 퍼내 쓸 수 있는 자원이 아니다. 지난해 말 도내 지하수 수위가 관측 이래 최저치를 기록한 바 있다. 일부 해안지역에선 지하수에 해수가 침투하는 문제까지 발생했다. 단순히 강수량 부족 탓이다. 도 당국은 이 같은 상황 변화를 주시해 근본적 대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용천수 등 지하수 관리를 허투루 여기다간 생각지도 못한 큰일이 닥칠 수 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