겉도는 道 감귤생산정책
겉도는 道 감귤생산정책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감귤정책의 근간은 적정 생산이다. 작년산 감귤 대란 역시 과잉생산에서 비롯됐다. 감귤 소비 추세를 감안하지 않은 감귤생산정책은 농민들도 더 이상 원하지 않는다.

제주도는 올해 감귤 생산 목표량을 여전히 60만t 이내로 잡아 물의를 빚고 있다. 작년산 감귤 처리난이 과잉공급 때문임을 누구보다도 잘 아는 제주도가 또다시 대량생산을 유도하다니 기가 막힐 노릇이다.

물론 적정생산량 책정에는 이해가 엇갈릴 수 있다. 하지만 전국 감귤 소비 추세를 감안하면 생산목표 책정은 어려운 일이 아니다. 가령, 10년 전과 요즘의 감귤 소비 추세를 비교해 계획 생산하면 물량 초과로 인한 가격 하락 및 처리난은 충분히 극복할 수 있다.

감귤 소비가 활발했던 1991년 생산량 60만t을 계속 적용하려는 도 방침은 즉각 수정돼야 한다. 아마도 당시 전국 1인당 12.2~12.8㎏의 감귤 소비량을 그대로 반영한 때문이 아닌가 생각된다.

그러나 근년 전국 과일시장의 양상은 크게 달라졌다. 감귤, 사과, 배 위주였던 겨울철 과일시장은 각종 외국산 과일이 들어오고, 딸기와 수박 등 여름철 과일이 온실 재배되면서 매우 다양해졌다.

소비자들의 과일 소비 선택의 폭이 넓어지면서 겨울철 과일 소비 1위를 고수해온 감귤 순위가 뒤로 쳐진 것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 당시 1인당 소비량을 그대로 적용해선 안 될 이유가 여기에 있다.

비교적 감귤 소비가 많은 일본도 1인당 소비량을 10㎏ 정도로 보고 계획 생산을 유도하고 있다. 일본 연간 감귤생산량 130만t 역시 인구(1억3000만명) 비율을 감안한 것이다.

따라서 전국 인구 4800만명에 합당한 본도 감귤 생산량은 48만t이다. 여기에 생산량을 10% 이상 늘려 잡더라도 전체 생산량은 55만t이면 족하다.

아예 감귤생산정책을 포기하겠다면 모를까, 적정 생산으로 생산농가의 소득 안정을 도모하겠다면 60만t 생산계획을 반드시 낮춰 조정해야 한다. 감귤원 폐원이 농가 신청대로 추진되고 2분의 1 간벌 및 감귤 꽃.열매 솎아주기만 제대로 이행된다면 5만t 추가 감산이 어려운 일은 아닐 것이다.

물론 면밀한 감귤 소비실태 조사를 통해 수요에 맞춘 일종의 맞춤형 감귤생산정책이 바람직하지만, 현실적으로 어려운 일인만큼 어느 정도 수요를 예측한 생산계획만이라도 수립돼야 한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