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참사 4주기…끝나지 않은 질문들
세월호 참사 4주기…끝나지 않은 질문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오늘은 304명의 소중한 생명을 앗아간 세월호 참사 4주기다. 2014년 4월 16일 제주도로 수학여행에 나선 경기도 안산 단원고 학생·교사와 일반인 등 승객 476명을 태운 세월호는 전남 진도 앞바다에서 전 국민이 지켜보는 가운데 침몰했다. 지금도 사고를 둘러싼 질문은 끝나지 않고 있다.

세월호 사고 이후 ‘안전 대한민국’을 표방하고 있지만, 아직도 갈 길은 멀다. 2015년 9월 추자도 낚싯배 돌고래호 전복 사고로 15명이 사망하고 3명이 실종했다. 2017년 12월 충북 제천 스포츠센터 화재로 29명이 숨지고, 지난 1월엔 밀양 세종병원 화재로 51명이 사망했다. 정부와 지자체는 사고가 터질 때마다 재발 방지를 약속했지만, 도루묵 되기 일쑤다.

해양사고는 오히려 증가했다. 세월호가 침몰하던 2014년 한해 해양사고는 1330건이었으나 2015년 2101건으로 크게 늘었다. 해수부가 해양수산 변화의 원년으로 삼았던 2016년 역시 2307건이 터졌다. 특히 2017에는 총 2582건으로 전년보다 275건이나 증가했다. 대부분이 ‘안전불감증’에서 비롯됐다는 사실이 씁쓸하기만 하다.

유가족을 포함한 많은 국민이 바라는 ‘철저한 진상규명과 처벌’은 현재 진행형이다. 대형사고의 최종 책임자인 박근혜 전 대통령과 청와대가 제대로 대응하지 않았다는 이른바 ‘세월호 7시간 의혹’은 최근에야 검찰 수사로 사실관계의 일단이 드러났다. 미수습자 5명을 찾고 일부에서 제기하고 있는 ‘충돌설’ 등을 규명해야 한다. 아직도 ‘바닷속 진실을 꺼내주세요’라며 울부짖고 있다. 선체 직립 후 하루빨리 해야 할 일이다.

세월호 참사일은 ‘국민안전의 날’이다. 다시는 이와 같은 끔찍한 재앙을 맞지 않으려면 국민 개개인과 국가 전체적인 안전의식이 높아져야 한다. 특히 6·13 지방선거 후보들도 어떻게 안전한 나라와 지역을 만들지를 공약으로 내걸고 유권자들의 평가를 받아야 한다. 세월호가 남긴 숙제는 재난으로부터 안전한 사회, 안전한 나라를 구축하는 것이다. 이제는 다짐만 되풀이하지 말고 제대로 풀어내야 한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