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대 이하 젊은 농가 보기 힘든 제주농촌
30대 이하 젊은 농가 보기 힘든 제주농촌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제주농촌이 점점 더 늙어가고 있다. 농가 고령화와 청년층 이탈이 심해 그만큼 농촌에 위기가 닥치고 있음을 뜻한다.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말 제주지역 농가 수는 3만2200가구, 농가 인구는 8만6463명으로 집계됐다. 2010년에 비해 각각 15%, 24.5% 줄었다. 농가 감소세는 농가소득 저하, 농촌 공동체 해체 등 여러 문제로 확산될 수 있는 우려를 낳는다.

인구 구조는 더 심각하다. 65세 이상 경영주는 1만5698명으로 전체 경영주(3만2200명)의 절반(48.8%)에 육박했다. 반면 경영주가 30대 이하 젊은 농가는 2.8%(895명)에 불과했다. 2010년 3056명에 비해 청년농이 무려 71%나 감소한 것이다. 고령화로 인한 자연감소에 농업을 포기하는 이농현상까지 가세하는 탓이다.

이는 결국 오늘의 농촌에는 대부분 노령 인구만 남아 있고 젊은이들은 떠나버려 농업 인구가 계속 줄고 있다는 얘기가 된다. 그러다 보니 제주 농업기반이 허약해질 수밖에 없다. 실제 농산물 중에 문제가 안 되는 게 없다. 감귤과 마늘, 당근, 양파 등 수확철만 되면 재배농들을 불안케 한다. 제값을 받을 수 있을지도 걱정이지만 처리부터가 불명확하기 때문이다.

이러니 농촌의 젊은이들은 농업에 등 돌릴 수밖에 없다. 해법은 청년들이 농촌에서 자신의 미래를 찾을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하는 게 먼저라고 본다. 청년농 육성정책을 면밀히 보완해 낮은 농가소득과 열악한 정주 여건을 개선하는 것이다. 농촌에 젊은층 진입을 촉진시킬 답을 찾지 않으면 백약이 무효라는 얘기다. 미래의 불확실성을 제거하는 게 실로 중요하다.

게다가 근래 제주로 이주해 오는 사람이 부쩍 늘고 있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귀농·귀촌의 정착지로 제주가 각광받고 있어서다. 토지·주택 구입에서부터 작목 선정, 기술 지원에 이르기까지 정책적으로 접근해야 한다. 창업농이 농업분야에 연착륙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고령농가들이 힘들지 않게 농사지을 수 있도록 지원책을 늘려야 함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