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동채소 또다시 처리난 걱정해야 하나
월동채소 또다시 처리난 걱정해야 하나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또다시 제주산 월동채소가 과잉생산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올해 역시 악순환이 되풀이 되고 있는 것이다. 밭작물이 농가의 주요 수입원이 되는 제주의 농촌 현실에선 걱정을 아니 할 수 없는 일이다. 지난해 한파 피해에 따른 거래가격이 호조를 보이면서 농가들이 너도나도 재배면적을 늘리는 데 따른 현상이다. 사전 출하량 조절 등 대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보도에 따르면 2018년 제주산 월동무 재배의향을 조사한 결과, 재배면적은 평년보다 11.3% 증가한 6363㏊로 추산됐다. 이는 역대 최대 면적을 기록했던 지난해 6275㏊보다도 1.4% 늘어난 수치다. 겨울당근 역시 올 재배면적이 1471㏊로 전년보다 5% 정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양배추도 3326㏊로 전년 대비 5%, 평년대비 8% 늘어날 것으로 예측됐다.

알다시피 제주산 월동채소는 전국 점유율이 상당히 높다. 2016년 기준으로 월동무는 77%, 당근은 56%, 양배추는 30%를 차지한다. 제주가 겨울철 채소공장이라고 불리는 이유다. 하지만 앞서 제시된 농가 재배의향이 현실화된다면 그 결과는 뻔하다. 과잉생산으로 처리난이 심화되고 농산물가격은 폭락할 가능성이 높다.

다행히 도 당국이 이번 조사를 토대로 농가들을 대상으로 적정 재배를 권장하는 작업에 나선다고 한다. 채소류 이외 작물을 재배하면 직불금을 지원하는 사업을 말함이다. 허나 그 사업량이 200ha·2억원에 머물러 고질적인 월동채소 과잉생산 구조를 해소할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게다가 농가의 자구노력 없이 도정의 노력만으론 해결될 수 없는 게 현실이다.

해마다 작물만 다를 뿐 과잉생산으로 가격폭락 사태가 빚어진다. 작황이 좋으면 소득이 올라야 할 텐데 그 반대일 경우가 허다하다. 이런 문제를 풀려면 정확한 재배의향 조사는 물론 재배신고제·계약재배 확대 등이 선행돼야 한다. 시장격리·산지폐기 같은 단편적 해법으로는 곤란하다는 얘기다. 특화작물 주산지화, 휴경휴식제 등 행·재정적 지원책도 강화해야 할 것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