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화 공포증’
‘노화 공포증’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고동수 논설위원

경로(敬老)가 아니고 혐로(嫌老)다. 오해하지 말아야 한다. 이런 현상을 노년층보다 언젠가 노인이 될 청년층이 더 걱정하고 있다. 청년들이 노인이 됐을 때 겪을 상황에 대해 현재 노인들보다 더 우려하고 있다는 의미다. 이를테면 “지금 노인들도 이런데, 내가 노인이 됐을 때는…”

국가인권위원회가 올해 처음 ‘노인 인권 종합보고서’를 발간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노인이 학대·방임을 당한다’는 문항에 노인들은 10%만 ‘그렇다’고 답했지만, 청년들은 85%가 동의했다. ‘고독사 가능성’에서도 실제 노인이 느끼는 체감보다 청년들의 걱정이 2배 이상 높았다. 심리학자들은 이런 현상이 심하면 ‘노화 공포증’으로 이어진다고 한다. 노인이 되는 것을 두려워한다는 것이다.

▲국민연금 논란이 세대 갈등으로 번질 조짐이다. 예전에도 국민연금은 세대 간의 경제적 이해관계가 충돌하는 대표적인 사례였다. 이런 와중에 정부가 보험료율 인상과 수급 연령 상향 등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지자 20, 30대의 가슴이 가장 먼저 철렁했다. 더 오래, 더 많이 보험료를 내고 연금은 더 늦게 받을 가능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실제로 국민연금은 시간이 갈수록 나중에 가입한 세대가 불리한 쪽으로 바뀌고 있다. 이 제도가 도입 당시 연금 수령 나이는 법정 정년인 60세였다. 즉 60세까지 의무적으로 보험료를 내고 60세부터 연금을 받을 수 있었다. 하지만 1998년 재정안정 차원에서 2013년부터 2033년까지 단계적으로 수령 연령이 늦춰졌다. 이제는 연금 수령 연령을 현재 최고 65세에서 단계적으로 68세로 올리고, 연금 가입 나이도 현재의 60세에서 65세로 늘리겠다는 것이다. 이러자 “만만한 게 국민연금인가요”, “하는 것을 보면 공무원은 상전이고 국민은 머슴이냐”, “50대만 되어도 은퇴하는 상황이다”, “60세 정년까지 일하기도 쉽지 않다”, “65세까지 보험료를 낼 수 있는 사람이 얼마나 되겠는가” 등의 항의 글이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을 도배하고 있다. 국민 여론이 나빠지자 정부는 슬그머니 확정안이 아니라며 발뺌했다.

▲국민연금 개편은 국민적인 공감대가 필수적이다. 자칫하면 정부가 들어서 세대 간의 갈등을 부채질할 수 있다. 청년층 사이에서 “왜 우리가 덤터기를 써야 하느냐”는 소리가 나와서는 안 된다. 모두가 ‘노화 공포증’을 경계해야 한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