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입수능 손질보다 안정화에 힘써야
대입수능 손질보다 안정화에 힘써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현기증이 날 지경이다. 입시 제도가 지속해서 요동을 치고 있기 때문이다. 내년 고등학교 1학년과 2학년, 3학년생이 각각 다른 제도 아래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을 치르게 됐다. 벌써 수험생과 학부모, 교사들의 한숨 소리가 들리는 듯하다. 툭하면 대입 제도를 바꾸는 것이 교육부의 일인가 묻지 않을 수 없다.

내년 고3 학생들이 치를 2020학년도 수능은 종전과 크게 바뀌지 않는다. 하지만 이들 중 재수를 선택한다면 사정은 크게 달라진다. 교육부가 내년 고2 학생들이 치를 2021학년도 수능 과목의 출제범위를 조정했기 때문이다. 내년 고1 학생들이 대상이 될 2022학년도 수능은 변화의 폭이 더 크다. 수능 영역별 출제범위와 평가방식이 크게 달라진다. 수학에서 공식적으로 문과와 이과의 구분이 폐지된다.

당연히 학교 현장은 걱정이 태산이다. 당장 수험생과 이들을 뒷바라지하는 학부모는 “올해로 끝내야 한다”는 극도의 강박 관념에 시달리게 됐다. 수험생들은 당장 변경된 입시 제도에 맞춰 공부하겠지만, 점수를 바탕으로 진학 전략을 짜는 선택의 기로에선 심리적 부담이 커질 전망이다. 자칫 재수, 삼수할 경우에는 새로운 평가방식과 출제범위에 적응해야 하기에 더욱 그렇다. 갈수록 첩첩산중이요, 이른바 ‘패자 부활전’은 더 부담스럽게 됐다.

우리나라에서 자주 바뀌는 것 중 하나는 교육제도다. 특히 대입에 이르면 종잡을 수 없을 정도로 혼란스럽다. 수능이 도입된 1994년 이후에는 난이도 조정과 과목 변경 등 거의 매년 손질했다. 교육부는 학생들의 학습과 사교육비 부담 완화 등을 이유로 내세우지만, 수험생과 학부모, 교사들만 골탕 먹고 있다.

오죽하면 지난해 한 여론조사에서 학부모의 83%가 잦은 수능 변경으로 불안감을 느낀다고 했을까 싶다. 예나 지금이나 완벽한 교육제도는 없다. 설령 어느 정도 문제가 있더라도 일관성 있게 끌고 가는 게 중요하다. 교육부는 입시 제도의 손질보다 안정화에 힘을 쏟아야 한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