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식량 위기와 21세기 국제정치
세계 식량 위기와 21세기 국제정치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고근필, 전 美버지니아주한인회 회장

필자가 지난 5월 미국 워싱턴에 도착했을 무렵 그곳에서는 각국 전문가들이 모여 세계식량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회의가 열렸다.

그만큼 앞으로 닥칠 수 있는 식량문제가 지역 분쟁으로도 확산될 수도 있다는 심각성에 대한 우려가 있었던 것 같다.

지금 세계 각국에서는 개발 붐이 일어 농토를 파헤치고 있으며, 농지 면적은 점차 줄어들고 있다는 글을 신문 보도를 통해 접했다.

인간이 굶주리게 되면 사회는 폭발한다.

질서를 마비시키고 방향을 잃게 만드는 결과를 낳을 수도 있다고 여론은 겁을 주었다.

그렇다면 식량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어떤 나라들일까?

땅을 많이 가진 나라, 힘이 센 국가일 수도 있다. 물론 그중에는 소멸할 국가도 나온다.

우리 앞에 두 종류의 딜레마가 가로놓여 있다.

국토방위 안보냐, 식량안보냐에 대한 선택이 해결해야 할 국제 정치의 책임으로 떠올라와 있다.

이 두 가지를 양립하는 게 가장 합리적이다.

두 가지를 선택할 수 없다면 필자가 생각하는 관점에서는 식량안보가 우선시 돼야 한다고 생각한다. 가난은 싸움을 불러오기 때문이다.

제주도에 최후의 선택은 주어져 있다고 생각한다.

약 356개의 오름 중 몇 개를 토지로 개발하면 도민들이 충분히 먹고 살 수 있는 농토로 개발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물론 이 예는 가장 최악의 상황에서이다.

지금부터라도 해양오염을 막아 바다에서 해산물을 양식하고, 농토에서 생산되는 곡물을 활용하면 충분히 먹고 살 수 있을 것이다.

제주는 축복 받은 기름진 땅과 바다 양식장이 있어 다행이다.

세계적으로 문제를 안고 있는 동남아, 아프리카, 중남미, 중동 지역 어디에 가더라도 기업들은 투자 개발로 농경지와 산림지대를 파괴하고 있다.

그로 인해 산소 부족과 농토 부족이 발생해 심각한 곡물난에 직면한다는 의견도 있다.

전문가나 과학자들은 멸종위기에 처해있는 생태계를 어떻게 보호할 것이며 번식시키는 문제를 놓고 고민하고 있다.

과학적으로 새로운 식량을 개발하려면 오랜 시간과 예산이 뒤따라야 한다.

새로운 국제정치의 과제로 떠올랐다고 할 수 있다.

자급자족할 농토가 없으면 식량을 외국에서 사서 먹어야 한다.

현재 70억 세계 인구는 미국의 곡물 생산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미국은 많은 토지를 보존하고 있고 미래를 생각하며 개발 허가를 내준다.

농토 보존에 대한 것을 엄격하게 통제하고 있다.

한국도 중국에서 들어오는 곡물을 사서 먹고 있다.

중국도 미국이 생산한 콩을 들여와 축산 양식으로 비축한다. 그렇다고 중국이 풍족하게 생산을 하는 것도 아니다.

한국은 위기에 처해 있다.

세계가 안고 있는 식량 문제는 과학적으로 세계 인구 70억을 먹여 살릴 수 있느냐다. 확실히 곡물 공급량은 부족한 상태이기 때문이다.

파리 기후변화협약은 미래 인류들에게 경각심을 불러일으키는 이벤트다.

유엔도 깊은 고민에 빠져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