억겁의 세월이 빚은 무릉도원
억겁의 세월이 빚은 무릉도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하늘로 우뚝 솟은 ‘입석대’
병풍처럼 펼쳐진 ‘서석대’
큰 바위 무수히 널린 ‘너덜겅’

무등산권 세계지질공원 인증
제주 이어 국내 세 번째
화순 고인돌 세계유산 지정
무등산 입석대의 모습.
무등산 입석대의 모습.

유네스코 세계유산이라는 타이틀은 매력적이다. 미국에서는 아예 동유럽이나 발트해 연안 국가들의 유네스코 문화유산을 둘러보는 관광상품이 인기를 끌기도 한다.

광주·전남권에도 유네스코의 인증을 받은 세계유산이 있다. 화순 고인돌 유적이 지난 2000년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고 지난 4월 무등산권이 유네스코 세계 지질공원으로 인증됐다. 남도의 유네스코 유산을 찾아 신팔도유람을 떠나보자.

무등산 주상절리대, 8700만년의 시간이 빚어낸 조각품

“(입석대를 지날 때) 돌기둥이 우뚝 서 있어서 이곳이 도대체 무릉도원(武陵桃源)인가, 장가계(張家界)인가 싶었죠.”

전주에서 거주하는 김형중(59)·이순덕(58) 부부는 지난 512일 비가 내리는 궂은 날씨에도 무등산 산행에 나섰다.

증심사 주차장에서 출발해 3시간여 동안 중머리재~장불재~입석대~서석대를 차례로 거쳐 무등산 정상(지왕봉) 행사장에 도착했다.

이날은 무등산권이 유네스코 세계 지질공원에 인증된 것을 기념하는 범시민 대축제가 펼쳐진 날이었다.

1966년 군부대 주둔 이후 일반인들은 무등산 정상을 아무 때나 출입할 수 없기 때문에 이번 정상 개방일을 놓칠 순 없었다.

유네스코는 지난 4월 프랑스 파리에서 204차 집행이사회를 열고 무등산권 지질공원을 세계 지질공원’(Global Geopark)으로 인증했다.

전 세계적으로 137번째, 국내에서는 제주도(2010)와 경북 청송(2017)에 이어 3번째다.

무등산권이 유네스코 세계 지질공원 네크워크에 이름을 올린 것은 수려한 자연경관뿐만 아니라 지질학적·역사문화적 가치를 국제적으로 공인받았음을 의미한다.

이와 더불어 천연의 지질자원을 관광상품으로 활용해 탐방객을 유치하는 새로운 차원의 관광모델인 지오 투어리즘’(Geo-Tourism)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무등산을 처음 오른 이들은 연필을 곧추세워 놓은 듯 하늘로 우뚝 솟은 돌기둥들의 모습에 놀란다.

무등산의 상징인 돌기둥 입석대와 병풍처럼 펼쳐진 서석대, 광석대 주상절리(柱狀節理), 큼직한 바위가 무수히 널려있는 너덜겅등이다.

놀랍게도 이같은 모양은 무등산이 까마득한 과거에 화산활동을 했었음을 증명한다.

전남대 무등산권 지질관광사업단(단장 허민 부총장) 연구에 따르면 공룡들의 세상이던 중생대 백악기 말, 지금으로부터 8700~8500만 년 전 시기에 무등산에서 모두 3차례 거대한 화산폭발이 있었다.

그 결과 무등산 정상 3(천왕봉·지왕봉·인왕봉)을 비롯해 서석대·입석대·광석대 주상절리와 덕산 너덜·지공너덜, 풍혈, 백마능선, 장불재, 시무지기 폭포, 화순 적벽, 화순 백아산 석회동굴, 화순 서유리 공룡화석지 등 23곳의 지질명소가 만들어졌다.

무등산 주상절리는 5각형이나 6각형 기둥형태를 하고 있다. 해발 750~1187m 사이에 주로 형성돼 있다.

입석대나 서석대 주상절리의 경우 면너비가 1~2m인데 비해 천왕봉·지왕봉 지역은 2~3m, 규봉암 뒤편 광석대는 2~7m 크기를 이루고 있다. 이는 최소 3차례에 걸쳐 분출된 화산암체가 냉각과 동시에 수축되며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입석대에서 남쪽으로 내려가다 보면 장불재~안양산 일대 능선인 백마능선을 만날 수 있다. 백마능선은 마치 말잔등처럼 미끈하게 뻗어있는 형상에서 유래했다고 전해진다.

장불재를 넘어 규봉암 방향으로 걷다보면 지공너덜을 만날 수 있다.

암괴류라고 부르는 너덜은 주상절리나 암석 덩어리가 풍화 등에 의해 부서진 뒤 무너져 산 경사면을 따라 흘러내린 돌무더기를 뜻한다. 증심사에서 토끼등을 오르는 길에는 덕산너덜을 만날 수 있다.

 

화순군 춘양면 대신리 보검재 가는 길 고인돌.
화순군 춘양면 대신리 보검재 가는 길 고인돌.

화순 효산리~대신리 보검재에 고인돌 596기 밀집

유네스코는 지난 200012월 화순과 고창, 강화도의 고인돌 유적을 세계 유산으로 지정했다.

화순의 경우 도곡면 효산리와 춘양면 대신리를 잇는 보검재(일명 보성재·해발 188.5m) 계곡 일대 4범위 안에 괴바위 고인돌지구(47) 관청바위 고인돌지구(190) 달바위 고인돌지구(40) 핑매바위 고인돌지구(133) 감태바위 고인돌지구(140) 대신리 발굴지(46) 등 모두 596기의 고인돌이 밀집해 있다.

화순에서는 탁자식과 바둑판식, 개석식(蓋石式)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고인돌을 한꺼번에 볼 수 있습니다. 또 세계에서 가장 큰 고인돌(핑매바위)이 있고, 덮개돌을 떼어낸 고인돌 채석장 흔적도 남아 있는데 대단한 거죠.”

전남도 문화관광해설사 다께다 지에미(武田智惠美·54)씨는 보통 평일에는 50~100, ·일요일에는 300명이 넘게 찾아올 때도 있다면서 “(화순 고인돌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돼 있어서 미국이나 일본 등 외국에서도 개인이나 가족단위로 방문한다고 설명했다.

최근 효산리에 고인돌 선사체험장이 조성됐다. 나무기둥을 뾰족하게 깎아 세운 울타리 안쪽에 망루와 원형움집, 방형움집, 고상가옥, 길쭉한 반움집 형태의 공동생활 공간인 세장방형 움집등이 재연돼 있다. 또한 주말에 사전 신청을 받아 청동기시대 당시 화살촉 만들기와 토기에 밥 짓기 등 다양한 체험을 할 수 있게 됐다. (문의 화순군 문화관광과 061-379-3178)

=광주일보 송기동 기자, 사진=광주일보 김진수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