넘치는 것에 대한 경계를
넘치는 것에 대한 경계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고봉철, 제주도농업기술원 서부농업기술센터

얼마 전 한 농업인으로부터 재배하고 있는 엽채류가 제대로 자라지 않는다는 고민을 들었다. 정식 전에 비료도 충분히 줬고, 특별한 병해충도 없다. 게다가 봄에는 퇴비도 가득 넣었는데 풍성한 수확은커녕 출하까지 못하는 상황이 됐다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염류집적 장해이다. 시설토양은 고정된 시설에서 계속적인 다량 시비와 용탈 되지 않는 특성 때문에 염기 함량이 집적돼 식물체에 해를 입히게 되는데, 이 경우에 해당되는 것이다.

원인은 비료 및 축산분뇨 퇴비의 과다시비, 강우 차단, 시설 내부의 환경 불량 등이다. 장해 유형은 다양하다. 고농도 염류에 의해 식물은 수분이 있어도 흡수가 불가능해지고, 성분 상호 간의 길항작용으로 양분이 넘침에도 결핍 증상이 나타나며, 미생물 활동 억제로 다량의 암모니아가 집적돼 생육이 저하되기도 한다.

이런 염류집적의 문제는 해결이 쉽지 않다는 데 있다. 그나마 최근에는 킬레이트제(DTPA) 처리기술로 과다 집적된 양분을 작물이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토양은 어떤 조건에도 성질을 유지하는 완충능력이 있지만, 그 범위를 넘어서 염류장해가 나타나면 돌이키기도 어렵다.

제주에서 시설면적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고 앞으로도 그 추세는 유지될 것이다. 시설의 증가만큼 시설관리, 특히 토양에 대한 철저한 경계를 당부하고 싶다.

언제든지 가까운 농업기술센터를 찾아 토양을 분석하고 토양을 이해해 그에 맞는 관리를 해주시기를 적극 권유한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