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을 위한 포털은 없다
지역을 위한 포털은 없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안차수 경남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기고’(Garbage-in, garbage-out)란 말이 있다. 쓸모없는 정보를 넣으면, 쓸모없는 결과만 얻게 된다는 컴퓨터 자료 처리 용어다. 쓰레기통에 들어간 것은 꺼내도 쓰레기라는 속어이기도 하다.

최근 포털뉴스를 읽으며 느끼는 감정이자 언론 현실이다. 6하 원칙 실종은 물론이고 오탈자, 비문, 설명 누락, 맥락 단절, 표절, 도용, 인용위반, 허위조작정보에 이르기까지 한국의 포털뉴스는 차라리 언론 사각지대에 가깝다. 포탈이 장악한 2018년 우리나라 디지털 뉴스의 신뢰도는 37개국 중 꼴찌를 기록했다.

작년에 이어 올해 국정감사에도 네이버와 다음의 수장들은 호출되었다. 정치권은 댓글과 편향을 질타하지만 문제는 뉴스철학의 부재이다. 하루 3000만 명이 동시에 이용하는 네이버 뉴스의 철학부재는 실시간 인기 검색어로 메인화면을 도배한 낚시성 기사와 베끼기와 짜깁기가 판치는 사이비 언론의 각축장을 제공한 사실을 부정할 수 없다.

네이버가 오늘날 한국의 뉴스 플랫폼으로 성장할 수 있었던 배경인 공적 자산인 뉴스는 트래픽을 위한 도구로 추락했고, 트랙픽을 위한, 트랙픽에 의한, 트래픽의 뉴스 플랫폼으로 전락했다.

지난 59일 네이버는 뉴스 편집에서 손을 떼고, 그동안 문제로 지적된 뉴스알고리즘검토위원회를 발족한다는 뉴스 서비스 방향을 발표했다. 언론 생태계가 아닌 여론을 의식한 임시방편이다.

막대한 사회적 영향력을 미치는 뉴스 플랫폼은 이윤의 사회적 환원과 더불어 사회적 가치의 환원을 맹렬히 추구해야 한다. 디지털 여론 지배자의 알고리즘 재검토도 중요하지만 정작 핵심은 네이버가 생각하는 뉴스의 사회적 가치를 따져보는 일이다. 그에 앞서,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지 스스로 묻는 일이다.

더 앞서, 최소한의 필요조치를 마련하고 실천하는지 되돌아보는 일이다. 이를테면, 사회적 약자 보호의 의무를 성실히 이행하고 있는가? 장애우, 여성, 노약자, 취약 계층에 대한 뉴스 윤리와 철학을 정립하고 있는가? 차별 방지의 윤리를 가지고 있는가?

4월 정동영 의원을 포함한 여야 의원 13명이 공동 발의한 일명 네이버-지역언론 상생법은 네이버가 지역이라는 한국 사회의 깊숙한 그늘을 돌아보고 사회적 가치 추구의 의무를 다하라는 준엄한 요구이다.

지역과 지역민은 한국사회 수도권 집중에서 밀려났고 방향을 잃은 지 오래다. 지역경제는 무너졌고 지역언론을 비롯한 지역의 문화는 정체성을 잃고 존재의 위기를 맞고 있다. 국민의 절반은 지역에 거주하지만 지역의 뉴스는 메인화면에 노출되지 않는다. 17년째 지역민은 네이버를 차별 없이 이용했지만 네이버는 지역을 극도로 차별해 왔다. 단지 거주의 차별성 때문에 서울을 제외한 한국의 지역민은 자신의 이야기를 잊은 채 살아가길 강요당한 셈이다. 포털이 위계적 권력관계를 해체하고 세상의 모든 이들을 같은 눈높이에서 유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네트워크로서 기능한다면 지역언론이 생산한 뉴스가 한 줄 걸리지 않는 포털뉴스는 지역과 지역민에 대한 인권의 잔혹사는 계속될 것이다.

네이버로 대표되는 한국의 포털이 지역민의 인간다운 삶을 부정하는 알고리즘과 그것이 내포하는 뉴스철학을 변화시키지 않는다면, 지역민들은 네이버를 뉴스 독과점의 이유로 공정거래위원회에 앞서 지역을 배제한 이유로 국가인권위원회로 달려갈 것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