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실습 갈 곳 잃은 특성화고 학생들
현장실습 갈 곳 잃은 특성화고 학생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특성화고 현장실습 제도가 취업 형태에서 학습 중심으로 바뀌면서 실습처가 뚝 떨어졌다고 한다. 심지어 특성화고 취업률 저하라는 부작용을 우려하는 목소리까지 나온다. 제주도교육청에 따르면 올해 특성화고 선도기업으로 참여한 곳은 12곳에 불과하다. 지난해 284곳과는 큰 차이를 보인다. 결국 경직된 제도가 학생들의 취업 길을 막고 있다는 지적이 뒤따른다.

도교육청은 지난해 11월 실습생 사망사고를 계기로 도입된 정부의 ‘학습형 현장실습 지침’을 시행 중이다. 실습기간을 3개월 이내로 제한했고, 기업 측은 실습생을 지도할 별도의 직원을 배치하도록 했다. 학생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겠다는 것이다. 하지만 현장에서 먹히기는커녕 학생들의 현장실습을 가로막는 상황이 돼버렸다. 사실상 ‘무늬만 현장실습’인 거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3학년 학생의 졸업 후 취업 보장이 안 돼 교사와 학부모 모두가 걱정이다. 학생들도 교실에서 빈둥거리거나 일부는 아르바이트 전선에 뛰어들고 있다. 심지어 불투명한 취업 전망에 대학 진학으로 방향을 트는 사례도 있다고 한다. 특성화고 설립 취지가 무색해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배경이다.

이런 일이 벌어지는 건 무엇보다 정부가 현실과 괴리가 있는 정책을 내놨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많다. 기업의 입장도 고려했어야 하는데 그들을 움츠리게 해 학생 채용에 발을 빼는 상황을 만들었다는 것이다. 기능인력을 체계적으로 키우는 시스템이 제대로 구축되지 않은 것도 한 요인이다. 그로 인해 특성화고 미달은 더 심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벌써 나온다.

특성화고는 그동안 높은 취업률에 학생과 학부모들의 선호도가 높았다. 허나 작금의 상황은 해당 졸업생의 고용절벽을 부추길 우려가 높다. 산업안전교육을 강화하는 대책이 나와줘야 하는데 실습 자체를 폐지하는 무리수를 둔 것이다. 고졸취업 확대는 정부의 100대 국정과제 중 하나다. 학생들의 실습처 안전과 취업 지원이 동시에 보장되는 개선책이 절실한 상황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