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동물 장묘시설 도입 검토할 때다
반려동물 장묘시설 도입 검토할 때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페이스북
  • 제주의뉴스
  • 제주여행
  • 네이버포스트
  • 카카오채널

반려동물을 키우는 인구가 이미 1000만명을 넘어선 시대다. 제주지역도 무려 9만7000가구에 달해 전국 대비 그 비율이 더 높다. 3가구 중 1가구꼴이다. 반려동물이 우리 사회의 일부로 자리매김한 것과 다를 바 없다. 관련 산업 규모도 어마어마하다. 2016년 2조3000억원에서 2020년에는 6조원을 넘본다고 한다. 거대한 시장을 형성한 블루오션으로 떠올랐다.

그런데 반려동물과 함께 지내는 사람들의 가장 큰 고민은 사후 처리다. 반려동물이 죽으면 폐기물관리법에 따라 동물 장묘업체에 맡겨 처리하거나 종량제봉투에 담아 버려야 한다. 아무 데나 묻으면 7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물게 된다. 하지만 제주지역엔 동물 장묘시설이 전무해 불법 매장이 공공연한 모양이다. 반려동물을 차마 폐기물로 처리할 수 없기 때문이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다른 지역 장묘시설을 이용하는 사례도 있지만 그 비율이 10% 미만이다. 절차도 복잡하고 비용도 만만치 않아 대다수가 몰래 사체를 묻어 처리하는 걸로 추정된다. 심지어 동물보호센터에서 안락사된 한 해 수천마리 사체도 대안이 없어 매립장으로 향한다. 도내 장묘시설 필요성이 절실한 이유다.

보건위생이나 비용 차원에서 본다면 반려동물의 사체 처리는 이미 사회문제화 됐다. 도심에 적당한 땅이 있는 것도 아니다 보니 보통 남모르는 곳에 사체를 묻는 일이 수두룩하다. 동물보호 문제를 떠나 자칫 악취나 질병 위험 등의 공동체 문제를 낳을 수도 있는 것이다. 한 조사를 보면 연간 전국적으로 숨지는 반려동물이 40만마리에 이른다니 예삿일이 아니다.

보도에 따르면 제주도가 ‘제주 동물복지 5개년 계획’의 하나로 공공 동물장묘시설을 조성할 계획이라고 한다. 차제에 반려동물 가구의 장례비 부담을 줄이고 바람직한 장례문화 정착을 위해 이를 적극 추진했으면 한다. 우리 사회의 민도를 볼 때 해당 시설이 사회적 문제의 하나라는 공감대만 형성된다면 해결책이 그리 어렵지 않다고 본다. 도 당국이 묘책을 찾기 바란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